2016년 11월 16일 지상파 3사의 수목드라마가 동시에 방송을 시작했다. KBS ‘오 마이 금비’, MBC ‘역도 요정 김복주’, SBS ‘푸른 바다의 전설’이 그것이다. 시청자들은 때 아닌 채널 선택의 행복한 고민을 가져야 했다. 반면 방송사들은 성공 여부에 대한 조마조마함으로 피를 말렸을 법하다.
필자 역시 무얼 시청하지 하는 고민을 겪은 후 ‘푸른 바다의 전설’로 정했다. 사실은 판타지 따위를 좋아하지 않지만, 일단 출산까지 마친 전지현(심청 역) 출연이 시선을 끌었다. ‘푸른 바다의 전설’을 메인 시청으로 하고, 두 개의 드라마는 시청률 등 상황에 따라 추후 재방송을 보려던 참이었다.
그러나 그런 계획은 금방 무산되고 말았다. ‘푸른 바다의 전설’ 시청률이 두 드라마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싱겁게도 수목드라마 대전이 방송 첫 주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닐슨코리아 전국 기준 16.4%로 시작한 ‘푸른 바다의 전설’은 최고 시청률 21.0%를 기록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물론 평균 시청률을 따지면 20%가 못되는 것이어서 ‘푸른 바다의 전설’이 대박 드라마라고 할 수는 없다. 연말 대형 특집프로인 ‘KBS가요대축제’와 ‘MBC연예대상’을 보라는 의도였는지 모르겠지만, 정작 특집 없는 SBS가 12월 29일 밤 느닷없이 기존 방송을 편집한 스페셜 ‘전설은 계속된다’를 내보낸 황당한 편성도 있었다.
결방은 수요일(1월 25일) 종영으로 이어졌다. 아주 이례적인 일로 후속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를 목요일 첫 방송하는 전례를 남긴 바 되었다. 대신 ‘사임당, 빛의 일기’를 1, 2회 연속 방송하는 편성의 묘를 살렸다. 제3회부터 수요일 방송을 예고함으로써 정상적인 수목드라마의 리듬을 찾은 것이다.
‘푸른 바다의 전설’이 인기리에 방송된 건 맞지만, 나로선 인내도 필요했다. 다른 수목드라마보다 월등히 높은 시청률에 어떤 의무감 같은게 생겨 보긴 했지만, 계속 말도 안 되는 판타지에 놀아나야 하나 하는 의문이 떠나지 않아서다. 세상에 인어와 인간의 영원한 사랑 이야기라니!
소재가 고갈되다보니 이제 못하는 짓이 없다는 탄식을 뒤로 한 채 보면 재미진 구석도 있긴 하다. 현대와 과거가 뒤엉켜 난삽하던 초반 전개와 달리 등장인물 대부분이 전생으로부터 이어지고 있는 설정이 그것이다. 가령 차시아(신혜선)를 보자. 허준재(이민호)를 일방적으로 사랑하는 차시아가 과거의 허준재인 담령에게 결혼 첫날 밤 소박맞은 신부였다는 사실이 웃음과 함께 깜짝 재미를 안겨주는 식이다.
갑질 응징이라든가 “여긴 거짓말이 있어 다행”이라는 인간세계 비판, 학원 공화국의 폐해를 꼬집는 등 은근히 웃기면서도 통쾌함을 안겨주는 점 역시 미덕이라 할만하다. 특히 “싫어도 왜 학원 열심히 다니냐면 엄마가 나 사랑하는 것 변할까봐”라는 꼬마의 말은 뭔가 뭉클하기까지 한 정서를 안겨준다.
CG로 재현한 전지현의 인어 모습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시각적 황홀함이자 판타지만의 신의 한 수로 보이긴 한다. 심청의 임신이 좀 징그럽게 느껴질망정 해피엔딩도 맘에 든다. 어차피 판타지 로맨스라는 드라마 방향을 제대로 살린 셈이라 할까.
하지만 판타지라는 이유로 너무 많은 걸 면죄받으려 하는 건 문제다. 전반적 짜임새가 좀 헐거운 것도 그 중 하나이다. 가령 그림에 있는 꽤 긴 한문을 사기꾼 허준재가 거뜬히 독해하는 걸 예로 들 수 있다. 탈주범 마대영(성동일)을 본 일반 시민이 ‘어, 마대영’하며 본인에게 직접 확인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해피엔딩이 맘에 든다고 했지만, 결말도 좀 헐거워 보인다. 포커스가 허준재와 심청의 사랑에 맞춰져 있긴 하지만, 강지헌(황신혜)과 마대영 등 드라마의 한 축을 담당해온 반동인물들에 대한 동정이 최종회에서 전혀 그려지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어찌된 일인지 배우들 발음상 오류도 여러 번 발견된다. “담배 꽁초 주서(주워)”(12월 7일 7회), “청소를 깨끄치(깨끗이) 하라고”(12월 22일 12회), “얼굴들이 나시(낯이) 익어”(1월 19일, 19회) 등이다. 각각 성동일⋅전지현⋅문소리 대사인데, ‘주워’, ‘깨끄시’, ‘나치’로 발음해야 맞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런 지적을 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