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서울신문에 행정자치부와 경찰청 이름으로 전면광고가 실렸다. “촌각을 다투는 긴급상황 도로명주소로 신고하면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광고는 또 “나와 가족을 지키는 안전 지름길”이 도로명주소 신고임을 알리고 있다.
공교롭게도 그와 같은 날짜 전북연합신문엔 ‘전주시의회 5분 발언’이 실렸다. 4명의 전주시의회 의원들의 발언이 인물사진과 함께 요약되어 있다. 그 중 남관우 의원은 2010년 이후 20억 원 이상의 예산을 집행했지만, 행정기관인 전주시의 도로명주소 사용이 아직도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도로명주소란 도로명과 건물번호에 의해 표기하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말한다. 종전 지번 주소와 시⋅군⋅구 및 읍⋅면까지는 동일하지만, 리(里)⋅지번⋅아파트 이름 대신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2011년 7월 29일 도로명주소 고시 이후 지번 주소와 병행하다가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도로명주소와 함께 우편번호 역시 종전 6자리에서 5자리로 바뀌었다. 5자리 우편번호는 2015년 8월 1일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준비 및 유예기간 1년 후인 2016년 8월 1일부터는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한 우편물은 규격 외 우편요금을 적용받는다. 보통 편지의 320원보다 70원 많은 390원을 내야 하는 것.
6자리 우편번호가 적힌 편지를 우체통에 넣은 경우 원칙적으로 발송지(자)로 반환된다. 발송자의 주소 표시가 없어 반환할 수 없는 경우에만 수취인에게 추가요금을 물린다는게 우정사업본부 설명이다. 우정사업본부가 시행 1년을 맞아 조사한 바에 따르면 5자리 우편번호 사용률은 96%이다.
그러나 학교의 사정은 다르다. 최근 필자는 전북도내 132개 고교 홈페이지를 방문했다. 무슨 기간제 교사 모집공고 따위를 보려던 것이 아니다. 심심해서는 더욱 아니다. 132개 고교 홈페이지를 방문한 것은 교원문학회장으로서 고교생문학작품모집의 공문 발송을 위한 각 학교 주소를 라벨로 작성하기 위해서였다.
그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 등 작성과정의 어려움을 여기서 시시콜콜 말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다른 행정기관도 아니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학교의 얼굴인 홈페이지가 그렇듯 시시각각 변하는 시대와 한참 거리가 먼 구년 묵이였음에 아연 놀라움과 함께 충격이 컸을 뿐이다. 2월 15일 기준 132개교 중 무려 50개 교가 아직도 6자리 우편번호로 학교를 소개하고 있어서다.
먼저 전주지역이다. 전북대사대부고⋅전주공고⋅영생고⋅완산고⋅완산여고⋅전일고⋅성심여고⋅기전여고⋅중앙여고⋅해성고다. 이리지역은 이리고⋅남성고⋅남성여고⋅원광여고⋅원광정보예술고⋅전북제일고다. 군산지역은 군산여상⋅영광여고⋅중앙고다. 정읍시는 정읍제일고⋅인상고⋅정주고⋅태인고⋅호남고다. 남원시는 남원여고⋅성원고⋅서진여고, 김제시는 김제여고⋅자영고⋅금산고⋅김제서고⋅지평선고다.
군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완주군의 고산고⋅삼례공고⋅한국게임과학고, 무주군의 푸른꿈고, 장수군의 장계공고⋅산서고, 순창군의 순창제일고⋅동계고⋅순창고, 고창군의 고창고⋅고창여고⋅고창북고, 부안군의 부안제일고⋅줄포자동차공고⋅부안여고 등이다. 전북의 14개 시⋅군중 진안군과 임실군 고교들만 5자리 우편번호로 정상 표기돼있을 뿐이다.
완주군 소재 전주예술고는 6자리든 5자리든 우편번호 자체가 아예 학교 홈페이지 도로명주소에 표시되지 않았다. 또한 도로명주소 개념을 모르는 듯 표기상 오류도 있었다. 예컨대 호남고는 지번주소인 ‘동’과 도로명주소 ‘로’가 나란히 표기되었다. 한국게임과학고, 세인고 역시 ‘완주군 화산면 화산로’를 ‘완주군 화산로’라 표기해놓았다.
한 가지 의문은 전라북도교육청이 도로명주소 본격 시행에 맞춰 관련 내용을 알리고 홈페이지 업데이트 등 독려하는 공문을 한 차례라도 보냈는가 하는 점이다. 만약 보냈다면 이렇게 많은 학교들이 상급 감독기관의 지시를 불이행할 수 있었을까. 위반 학교가 그렇듯 많은 것은 공문 유무와 상관없이 문제로 남는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오류가 비단 전북도내 고교만의 일은 아닐 것이라는데에 있다. 전북의 초⋅중학교, 나아가 전국의 각급 학교 홈페이지의 5자리 우편번호 표기실태를 전수 조사하고 싶은 심정이다. 바야흐로 새 학기가 시작되었다. 교육부가 적극 나서 각급 학교의 도로명주소에 따른 5자리 우편번호 정착을 독려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