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5일 '디지털기반의 원격교육활성화 기본법' 시행으로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이 법제화됐다. 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참여교육과 비판적 이해 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미디어 교육사업에 참여해 청소년들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 과정에서 느낀 점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려 한다.
학교 현장의 관심 아직 낮아
최근 몇 년간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학교 현장에 보급됐다. 하지만 여전히 미디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실천하는 교사들은 많지 않다.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지 않는 것이다.
과거에는 신문이나 방송 같은 일부 채널에 의존해 정보를 얻었다면, 지금은 유튜브, 팟캐스트, 넷플릭스, SNS 등 채널이 매우 다양해졌다. 수많은 정보 가운데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 보니 조작되거나 편향된 정보에 매우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허위를 사실로 믿거나, 자기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만 받아들여 극단적 사고에 빠질 우려가 크다. 더욱이 특정 계층이나 집단에 대한 지나친 혐오나 공격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다른 의견에도 충분히 귀 기울이며, 다양한 관점과 사고를 접해야 청소년의 시민성은 함양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 사회에서 미디어 교육의 역사는 꽤 길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의 구체적 실행 방법에 대한 논의는 많이 부족했다. 교수법 개발을 위한 고민과 시도가 필요하다. 뉴스를 예로 들면, 육하원칙을 통해 학생들이 뉴스를 분석해보게 할 수 있다. ‘누가’는 뉴스 정보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누가'를 통해 뉴스에 많이 보도되는 정보원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입장을 지지하는 정보원의 이야기를 많이 인용했다면 공정성 측면에서 이 기사를 비판해 볼 수 있다.
구체적 교수법 개발·공유해야
최근 발생한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는 ‘왜’라는 부분에 비판적 접근을 해 볼 수 있다. 즉 전쟁이 발생한 원인을 보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뉴스가 사실 전달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정작 왜 특정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지를 전달하는 데는 소홀한 경우가 많다. 이런 비판적 분석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뉴스의 역할과 책임을 다시 한번 고민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공유해야 한다. 유튜브나 넷플릭스의 추천 알고리즘,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 등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이슈가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