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신학기의 화두는 단연 교원평가제 전면도입이다. 전면도입을 하건 인센티브를 주건, 연수를 시키건 교사들의 관심 밖이다. 오로지 왜 이렇게 평가를 하느냐에 쏠려있다. 학교장 평가와 동료 평가에는 그나마 수긍을 하는 편이다. 학생 평가도 신뢰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가장 가까이 생활하고 있기에 어느정도는 수긍을 할 수도 있다. 문제는 학부모 평가이다. 교사들의 대다수가 학부모이기 때문에 과연 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것인가에 쏠려있는 것이다.
필자 역시 학부모다. 그러나 솔직히 아이의 담임교사를 본 적이 없다. 과목 정도는 알고있다. 이름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당장 올해부터는 평가를 해야 한다. 어디 담임교사 뿐인가. 아이 학급에 수업을 들어오는 교과담당교사도 평가의 대상이다. 학교에 교과담당교사가 몇 명인지도 정확히 떠오르지 않는다. 물론 학부모의 역할을 충실히 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그 모든 것에 관심을 갖기에는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이 너무나 바쁘고 험난하다.
모든 평가는 온라인 평가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학부모 평가는 곧 학생평가가 될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매우 높다. 어느 학부모가 교사 평가를 위해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것인가. 학교교육에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진 학부모라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학부모가 많지 않을 것이고 관심이 있다고 해도 자녀 학급의 모든 교과담당교사의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학부모회나 학교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학부모들도 담임교사 외에는 몇몇 교사들만 알고 있을 뿐이다. 중학교의 경우는 최소한 12과목정도를 이수하고 있다. 이 12명의 교사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평가는 이미 객관성을 잃은 평가가 되는 것이다. 자녀들에게 교사 평가를 대신하도록 할 것이다. 누가봐도 당연한 것임에도 계속해서 밀어 붙이는 교과부의 의도를 정말로 이해할 수 없다. 도대체 이런 정책을 무조건 추진하려는 사람이 누군지 궁금할 따름이다.
아직은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다. 아니면 최소한 학부모 평가는 보류해야 한다. 교과부는 그동안 전국학교의 30%에서 시범운영을 했기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 물론 수치적으로는 그것이 옳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그렇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시범학교 수를 늘리기 위해 각 교육청에 시범운영에 참여할 학교를 할당했다. 그런 다음에 학교장들에게 압박을 가했다. 6개월짜리 시범학교들이 수두룩 했다. 6개월 동안의 시범운영에서 무엇이 나오겠는가. 결국은 기존의 시범학교 모델을 그대로 따라하는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런 사실을 교과부도 당연히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론에 밀려 무조건 실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제가 있으면 고쳐야 하는 것 아닌가. 시범운영 많이 했다고 주장만 할 일은 절대로 아니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그 평가는 성공을 거두는 것이다. 교과부에서는 근평과 성과금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이상한 논리도 펼치고 있다. 그들 평가가 교원평가로 직결될 수 없다는 것은 교과부에서 더 잘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왜 이렇게 하는 것인가.
기다리는 미덕을 발휘해야 한다. 학교마다 여건이 다르고 교사들의 근무여건도 다르다. 학생들도 수준이 다르다. 지역여건도 다르다. 그런데 어떻게 전국적으로 똑같은 규칙을 적용하여 평가하겠다는 것인가. 그 평가의 결과가 과연 모두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절대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평가를 잘 받건 잘못받건 또한번 모든 교사들이 마음편히 지낼 수 없는 분위기만 만들고 말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미 시작된 상태나 마찬가지 이지만 더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싶을 뿐이다. 교원평가가 교육정상화의 전부는 아니라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