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평가결과가 동료평가보다는 다소 낮게 나왔다. 자유롭게 진술하는 항목에 답한 학생들도 많았다. 교사들과 직접 마주하면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기에 어느 정도는 객관성이 높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무성의한 답이 많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보인다. 또한 진술문항에서는 교사들에게 해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자신들의 잘못을 마치 교사가 잘못해서 그렇게 된 것처럼 주장하는 형식의 이야기도 있었다.
이미 잘 알려진 이야기지만 학생들이 교원평가를 빌미로 교사들에게 불필요한 언행을 하는 학생들도 있었고, 생각보다 많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감정섞인 이야기를 써 놓은 경우도 있었다.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교사를 평가하는 자체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 이유는 종합적인 평가가 어렵기도 했을 것이고, 따라서 수업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여러가지를 평가해야 했기 때문일 것이다.
온갖 이야기를 다 써놓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교사들도 있었다. 아주 사소한 이야기들이 대부분인데, 가령 지난번에 수업시간에 제가 떠든 것이 아니고 옆에 아이가 떠드는 바람에 제가 억을하게 걸렸다거나 선생님은 왜 누구에게만 관심을 두느냐는 등인데 같은 교사임에도 선생님은 여러 학생들에게 관심을 많이 두셔서 좋다는 상반된 대답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 학생들 평가가 과연 객관성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정확하게 평가를 한 경우도 있었다. 선생님은 다 좋은데 목소리가 작아서 뒤에 있는 아이들은 잘 알아듣지 못한다. 가끔씩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셔서 졸리지 않고 공부할 수 있어 좋다는 이야기 등이다. 이런 경우는 교사들 본인도 그런 상황을 잘 알고 있다고 했다. 앞으로는 목소리를 좀더 크게 하거나 아니면 마이크를 써야 겠다는 교사가 있었고, 학생들이 어쨌든 수업시간에 재미를 느껴야 하기에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는 교사들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생평가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는 객관성이 있었다. 다만 많은 학생들이 평가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과정에서 장난삼아 평가를 하는 경우가 있었다는 것은 앞으로 깊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 싶다. 같은 번호에 모조리 체크를 하거나 지그재그식으로 답을 체크하는 경우들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학생들에게 진지하게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학교에서는 학생참여가 저조하다고 해서 학생들을 독려하는 것에 대한 문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한꺼번에 컴퓨터실에 모아놓고 학생들이 평가를 하도록 한 학교들이 대부분일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평가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것은 어떤 방법으로든지 학교에서 관여를 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100%가 참여한 학교들도 여럿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앞으로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학생평가는 비교적 객관성이 있었지만, 진지하게 평가에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과 함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또한 평가점수에 대한 기준점을 학생들 스스로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