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과 집중

2014.12.01 11:56:00

요즘 선택과 집중에 대한 말을 많이 쓴다. 교육청에도 그렇고, 시청에도 그렇다. 정책을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추진해 간다는 뜻이 되겠다. 무수한 일들을 해야 하는데 그 중에 무슨 일을 선택할 것이며 무슨 일을 집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들은 잘 된 것이라 생각된다.

집중력은 엄청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얼만 전 들은 이야기다. 손목이 없는 조모씨는 팔이 없다보니 살아갈 힘이 입에 집중하게 되었는데 ‘입’에 집중하다 보니 문장 하나를 한 번 읽으면 바로 외워지는 놀라운 능력을 발휘하게 되더라는 것이다.

집중이 그만큼 큰 힘을 발휘함을 보게 된다. 그러기에 무슨 일을 해도 집중해서 노력하면 커다란 놀라운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그러기에 정책을 입안하는 이들은 무엇을 선택해서 집중할 것인지에 대한 심사숙고가 뒤따라야 할 것 같다. 교육청도 그렇고, 시청도 그렇고, 일선 학교에도 그렇다.

집중을 하기 전에 어디에 집중할 것인지 선택하는 일에 먼저 머리를 싸매고 고심해야 한다. 선택을 잘못해 놓으면 중요한 것 놓치게 되고 덜 중요한 것에 모든 것을 투자하게 되어 많은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기에 교육감, 시장뿐만 아니라 학교의 교장까지도 무슨 일에 집중할 것인지에 대한 나름대로 선택이 있어야 한다.

그 선택의 기준은 무엇보다 학생들의 편에서 생각하면 쉽게 방향이 잡힌다. 다음으로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님의 편에서 생각하면 답이 나온다. 나아가 선생님들의 귀를 기울이면 선택해야 할 분야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직접 상대해서 가르치고 대화하고 생활하기 때문에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시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시민들은 학생들을 곁에서 지켜보면서 안타까움을 나타낼 때가 많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나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을 잘 안다. 이런 것들에 대해 귀를 기울여서 교육에서 우선 선택해야 할 정책들을, 교육내용을 잡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지 않으면 무엇을 선택해도 그 선택이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 말할 수 없고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이러기에 잘 판단하고 분별하는 힘을 가져야 할 것 같다. 인기를 위한 정책, 일시적인 효과를 위한 교육정책 등에 선택해서 힘을 쏟으면 엄청난 손실을 가져오고 만다.

선택에 대한 분별력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중점사항을 무엇으로 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하겠다. 학교마다 중점사항이 거의 비슷하다. 학교마다 특색도 거의 비슷하다. 학교마다 비슷하면 그게 중점사항이라 할 수 없고 특색사항이라 할 수 없다.

다른 학교가 하지 않는 새로운 것, 다른 학교에서 시행하지 않는 새로운 것, 다른 학교와 색다른 것 등이 필요하다. 아무리 생각해도 별다른 것이 없다 하면서 그대로 하면 학교의 발전이 있을 수 없다. 학교마다 독서교육, 인성교육, 수준별수업, 영어회화수업 등도 실천항목을 보아도 거의 대동소이하다.

선생님들에게도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창의 사고로 새롭게 추진해 나가야 할 일에 대해서 고민하면 새로운 좋은 사항들이 나올 것이라 생각된다. 큰 틀이 같다고 할지라도 시행방법을 여러 가지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 유의해서 선생님들은 머리를 싸매고 함께 고심해야 하고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몇 가지의 선택할 분야가 정해지면 그 일에 집중해야 한다. 집중해야 할 이유를 모두가 공감해야 하고 필요성을 공유해야 한다. 모두가 선택된 교육정책에 대해 힘을 모아야 한다. 선택된 것이 잘못되어 추진과정에서 잡음이 계속 생긴다면 많은 시간과 힘을 낭비하고 말고 그 많은 학생들에게 수혜를 주는 것이 아니라 손해를 끼치고 말게 된다.

무엇이든 하나가 선택이 되어 거기에 집중이 되어지면 큰 힘을 발휘하게 되니 집중을 하늘 일에도 하나가 되어야 한다. 모두가 한 마음, 한 뜻으로 추진해야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한 번 선택을 하고 나면 자주 바꿀 수가 없다. 한 번 선택을 하면 집중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할 때가 많다. 선택과 집중은 함께 가야 한다. 독서교육을 특색사업으로 선택을 했다면 거기에 무엇보다 집중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그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잘 운영해 나가야 된다. 그래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문곤섭 전 울산외국어고등학교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