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두산 순교 성지 봉헌 50주년 수집 특별 유물전

2017.03.29 09:03:54

3월 마지막 주를 맞이한 한강변의 봄바람은 아직도 싸늘하다. 조선이 유럽과 전쟁을 한 병인양요 흔적이 남은 절두산을 찾았다. 절두산의 원래 이름은 누에가 머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해서 잠두봉이었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조선왕조 시대에 종교나 국사범 등 중죄를 지은 사람들은 이곳에서 처형되었으며, 1866년 병인양요 때 대원군이 1만여 명의 천주교도들을 잡아다 처형하면서 이후 절두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를 간직한 자리에 한국 천주교회는 1967년 순교성지를 조성해 그리스도의 박애정신과 목숨을 걸고 지킨 천주교도들의 신앙심을 기리고 있다. 기념관에는 한국 천주교회사와 관련한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기념성당 지하에는 순교자 28위의 유해를 모시고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도 끊이지 않는다.




올해는 순교성지 봉헌 50주년을 맞아 한국 천주교회의 유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전시해 신앙의 선조들이 지녔던 순교신앙을 마주할 수 있는 장이 되고 있다. 야외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동상과 절두산에서 처형된 첫 순교자 가족이었던 이의송과 그의 처 김옛분, 아들 봉익을 형상화한 기념상, 순교자 기념탑 등이 전시돼 있다. 이에 3월 25일부터 10월 21일까지 유물 수집 50주년 기념 특별전을 열어 소유에서 공유로 기증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했다.





경천()은 뤼순 감옥에서 안중근 의사가 사형집행을 앞두고 일본인의 부탁을 받아 쓴 글씨로 하느님을 공경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유묵은 염수경(1943-)추기경이 기증한 것이라고 안내서에 기록되어 있다.




김대건은 1821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나 순교자인 아버지의 감화로 어려서 세례 교인이 되었고 14살이 되어서는 프랑스 신부 모방의 소개로 최양업, 최방제 등과 함께 마카오로 유학을 할 수가 있었다. 6년 동안의 공부를 마친 김대건은 20살이 되던 해 마카오를 출발하여 걸어서 의주에 이르렀으나 감시가 심하여 입국이 어렵게 되자 다시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 함경북도 경원에 이르러 입국하려 하였으나 다시 실패하고 몽고에 들어가 페레올 주교 밑에서 신학을 연마한 다음 1845년 단신으로 서울에 진입할 수가 있었다.


이후 상해에서 1845년 8월 17일에 우리 나라 최초로 신부 서품을 받고 1846년 다시 입국하여 비밀 상륙지점을 모색하다가 관헌에게 잡혔다. 그는 여섯차례에 걸쳐 모진 고문을 받았으나 "인생이 한 번 나고 한 번 죽는 것은  피치 못할 바이니 오늘 천주를 위하여 죽는 것은 오히려 나의 원하는 바이다. 오늘 물어도, 내일 물어도 오직 같을 따름이라"고 말하였다. 이를 통하여 느끼는 바는 과연 나이 14살에 부모의 품을 떠나 한창 놀 25살에 자신의 이상을 위하여 그토록 의연히 최후를 맞이할 수 있겠느냐 하는 점이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