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기를 마치고 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여름방학에 들어갔다. 1학기를 결산하고 성적표를 받았을 것이다. 어떤 학생은 기말고사를 마치고 완전히 실패했다는 결과를 전해들을 때 마음이 착찹해졌다. 이제 실패한 이유를 잘 분석해 보고 무엇이 부족하였는가를 반성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체적으로 학교 성적이 좋은 사람들은 다섯 가지 습관을 가지고 있다. 플래너의 기질이 있다. 명문대에 합격한 학생들의 공통적인 특징에서도 찾을 수 있자. 이들은 실천 가능한 장,단기 학습계획을 먼저 세운다. 읽을 책을 미리 정하고 습득해야 할 정보를 정리한 다음, 언제까지 어느 정도의 학습을 해야 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계획대로 실천한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 시간 분배와 학습 진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자. 잘 짜인 계획은 시간에 쫓겨 포기하지 않고 착실하게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것은 누구나 실패의 경험이 있다. 그러나 실패를 가장 큰 공부로 삼는다. 어느 누구도 100% 맞는 정답을 써낼 순 없다. 공부 잘하는 사람은 실패 때문에 좌절하는 대신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다음 번에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대비를 한다. 반면 공부를 못하는 사람은 답이 틀렸을 때 ‘난 안 돼’라고 자책부터 한다. 실수의 원인을 분석하기 보다 좌절을 먼저한다. 또 어떤 사람은 시험이 끝나면 그뿐, 시험지를 다시 들여다 보지도 않는다. 어떤 문제가 틀렸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어떻게 찾아낼 수 있는지 고민하지 않으면 똑같은 실수를 다음에도 반복할 수밖에 없다. 실패의 요인을 곰곰히 찾아야 한다. 실수를 피하는 방법을 깨닫게 하는 것, 실패가 때로는 가장 큰 공부가 된다.
끊임없이 ‘왜?’라고 질문한다. 공부 잘하는 사람은 책을 보거나 강의를 들으면서 가끔은 갸우뚱한다. ‘아! 그렇구나’ 하기 전에 ‘왜?’라는 질문을 먼저 던지는 것이다. 공부란 모르는 것을 알아가는 과정이다.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부분이 있으면 그 분야의 선생님이나 전문가를 찾아 물어야 한다. 내가 잘 아는 한 학생은 반드시 수업시간이 끝나면 의문 하나를 선생님에게 질문을 했다. 요즘은 인터넷이나 전화로 질문할 수 있는 창구가 많다. 모르는 것은 그냥 넘어가지 말고 질문해서 답을 찾아내자. 그게 공부다. 이해의 시작은 ‘아!’가 아니라 ‘왜?’라는 것을 명심하자.
메모와 분류에 남다른 재능이 있다. 메모와 필기쯤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그 메모를 활용할 수 있도록 요약 정리하는 일이다. 공부를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머리를 과신한다. 귀찮다고 적어두지 않는다. 필요한 순간에 기억나겠지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무슨 생각을 했는지 깜깜해지는 것이 사람의 뇌이다. 남의 이야기든, 내 아이디어든 메모하고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적고 분류하다 보면 자연스레 복습도 된다. 때로는 노트를 따로 찾을 필요도 없이 필요한 정보가 금방 떠오르기도 한다. 짧은 메모의 힘은 생각보다 강하다.
책상과 책장도 잘 정리되어 있다. 공부 잘하는 사람은 언제든 다시 꺼내볼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어 있다. 물론 책상위도 항상 깔끔하다. 공부하려다 보면 잡다한 물건이 집중을 방해한다. 공부가 잘 될리 없다. 점점 주의가 산만해지고 진도는 안 나가고 결국 포기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평소에 책상만큼은 깔끔하게 정리해 두는 습관을 기르자. 이같은 핵심 사항을 실천하는 것이 요즘 아이들에게 중요한 과제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