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교육 칼럼] 바람직한 사제관계

2017.11.01 09:00:00

현대사회가 도전받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아마도 비인간화 현상이라는 문제일 것이다. 즉, 현대사회의 물질적 풍요 속에서 인간성이 점차로 마멸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은 타인을 하나의 인격적 주체로 대하는 데 점점 더 인색해지고 있다.


인간화 교육은 인간적인 교사에 의해 이뤄진다

더 큰 문제는 사회의 비인간화 현상에 교육이 편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교육의 본래적 사명이 ‘사람임(Menschsein)’을 ‘사람됨(Menschwerden)’으로 이끄는 일이라고 본다면, 이러한 교육현상은 미래사회를 더욱더 불투명하게 하는 촉진요인이 될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교육에 대한 인간주의적인 접근은 꾸준히 고조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교사와 학생 관계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인간학적 접근’을 강조하는 경향이 돋보인다. 이러한 관계가 자주 교육 문제로 부각되는 이유는 학생의 인간성(사람됨)은 인간적인 교사의 인간적인 교육방법에 의해 계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교육내용이 아무리 인간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인간성이 결여된 교사에 의해 비인간적인 방법으로 가르쳐진다면 학생들은 결국 비인간적인 ‘어떤 것’을 학습하게 된다. 그러기에 교사와 학생 간의 참된 관계는 교육내용에 선행한다고 볼 수 있다. 실존철학자인 볼노(O. F. Bollnow)의 “만남은 교육 교육에 선행한다”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구도적 동반자 관계일 때 인간적 만남이 가능하다

그러면 바람직한 교사·학생 관계는 어떠해야 할까?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중 하나를 들자면 ‘구도적 동반자(求道的 同伴者)’ 관계를 들 수 있다. 이 관계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우열적 상하관계로 보지 않고 진리와 삶 앞에 적나라하게 서있는 동등한 구도자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이것은 실존철학자인 부버(M. Buber)가 말하는 우정의 관계이기도 하다. 이때 교사가 학생이 되기도 하며, 학생이 교사가 되기도 한다. 진리와 삶 앞에서는 교사가 교사이기를 그치고, 학생은 학생이기를 그치는 데서 인간적인 ‘만남’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삶과 진리 앞에 교사와 학생이 동등한 구도자적 인간으로 마주 설 때 ‘만남’이 가능한 것이다. 인도의 성자 ‘썬다 싱’의 이야기에 나오는 다음의 예화를 검토해 보자.


눈 내리는 추운 겨울날 나그네가 길을 떠났다.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눈 덮인 히말라야 산길을 넘어야 했다. 계곡을 가다 보니 웬 나그네 하나가 추위로 눈 위에 쓰러져 있었다.

1) 이 나그네는 망설였다. 쓰러진 나그네를 보살피거나 업고 가다가 지체하면 자기마저도 동사(凍死)할 것이라는 생각에 못 본 체하고 지나쳤다. 결국 이 나그네도 얼마 못 가 추위로 동사(凍死)하고 말았다(「나-그것」의 비인격적 관계의 결말).

2) 이 나그네는 쓰러진 나그네를 업고 목적지를 향해 부지런히 걸었다. 이마에  구슬 같은 땀이 흘렀으며, 등에서는 따스한 체온이 발(發)하여 업힌 나그네의 가슴으로 전달되어 언 몸을 녹여 주었다. 결국 둘 다 살았다(「나-너」의 인격적 관계의 결말).


위 예에서 보듯이 1)의 나그네는 삶과 진리 앞에 떳떳이 맞서지 못했기에 결국 공멸(共滅)하고 말았지만, 떳떳이 맞선 2)의 나그네는 공생(共生)을 하게 된 것이다. 즉, 1)에서는 ‘너도 죽고 나도 죽었지만(lose-lose)’, 2)에서는 ‘너도 살고 나도 산 것(win-win)’이다. 진흙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는 진흙 속으로 뛰어들어야 한다는 것이 인간적인 삶의 정석인 것이 다. 이처럼 교사도 학생의 실존적 삶에 뛰어들어 동참해야 학생을 건질 수 있다.


교사도 학생의 실존적 삶에 뛰어들어 동참해야 한다

현대사회가 지나치게 비인간적으로 치닫는 것은 정말 비극적인 상황이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쓰러진 나그네처럼 항상 진리와 삶의 문제로 방황하며 고뇌한다. 교사는 이러한 학생 들을 지나쳐 버려서는 안 된다. 동붕동행적(同朋同行的) 자세, 다시 말해 구도적 동반자 관계를 견지해야 한다. 이 같은 교사의 길은 힘들고 고통스럽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교직을 성직(聖職)에 비유했던 것이다.

강선보 고려대학교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