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자 평론가인 노창수의 평론집 『토박이의 풍자 시학』이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창작하는 이들은 ‘얕은 문명’의 결과적 상황만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데에서 벗어나 문학의 근본과 본질을 성찰해야 한다. 저자는 그러한 성찰을 보여주는 글들로 독자를 안내한다.
올해 두 권의 역작을 출간한 작가의 열정에 지인들은 경의를 표하고 있다. 오랫동안 강단을 지키면서 인고의 작품을 만들어 낸 작가의 글쓰기는 배움을 경영하라는 멧시지를 전하고도 남음이 있다.
본질을 잃어버린 세상으로 향하는 유행을 거부하면서, 문학의 깊은 본질을 추구하는 시인들의 단련에 평론가는 경의를 표하고 있다.
1부 ‘이야기로 창작력을 얻다’에서는 시 창작의 원리와 기법을 설명한다. 2부 ‘묵인의 풍자와 소통하다’에서는 황광해, 김하늬, 윤경자, 진헌성 등의 작품들을 통해 저항과 풍자의 시학을 논한다. 3부 ‘토박이 서정을 잇다’에서는 지역의 독특한 감성을 간직한 시인들의 작품론을 펼친다.
지갑이 명품인들 비어 있으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빈 지갑을 내보이듯 시인 정현종은 문명에 자리를 내준 본질적인 자연에 대한 아쉬움을 「깊은 흙길」이란 시에서 노래한 적이 있지요. 실속이 없는 지구상은 이제 ‘깊은 자연’은 사라지고 ‘얕은 문명’만이 남은 황폐한 현상이라고 비꼰 것입니다.
“흙길이었을 때 언덕길은 / 깊고 깊었다 / 포장을 하고 난 뒤 그 길에서는 / 깊음이 사라졌다
숲의 정령들도 사라졌다”(정현종, 「깊은 흙길」)
사실 시인이 지적한 대로 길은 옛 흙길이었을 때가 좋았습니다. 포장을 하고 난 뒤부터는 자연 냄새, 사람 냄새가 사라진 길이었거든요. 자동차만의 길은 감각적인 길입니다. 속도가 우선이지요. 그러니 깊고 무거운 숨을 쉬는 자연의 길은 이미 아니지요. 자연의 길은 본질입니다. 포장된 길, 문명화된 길. 여유와 여백이 없어진 길에서 우리네 삶은 가파르다 못해 지금은 위험하기까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