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수업·연구

시 수업, 이렇게 하면 어떨까

수업을 하면서 늘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수업 내용을 쉽게 익힐까를 고민한다. 그리고 잘 가르쳐야 한다는 압박감도 있다. 시는 더욱 그렇다. 내가 워낙 시를 좋아하니까 시 수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그러다보니 시 수업을 시작할 때, 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을 전달하는데 노력한다. 율격, 소재, 주제를 말해준다. 직유법, 비유법, 은유법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각 연의 중심 내용을 말해주고, 각 연의 핵심어도 네모 박스를 치라고 지시했다. 나 혼자 시를 해석하고, 밑줄 쳐 가면서 강조하고, 그야말로 시험에 나올 것은 모두 수업했다. 자습서에 나오는 것은 구구절절이 많고 귀찮은 듯해서 요약 설명을 했다.

수업을 마치고 교무실에 오면, 자신감이 넘쳤을까. 아니다. 뭔가 마음에 늘 허전함이 있다. 아이들과 수업한 것이 아니라 혼자 수업을 했다는 자책감이 인다. 이번에는 바꿔보려고 시도해 보았다. 바꾸려는 생각만으로는 모자라다. 교실에 들어가면 옛날 버릇이 또 나온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렇게 시나리오(이것은 나만의 창의적인 학습 지도안이다.)를 만들기로 했다.

학습 단원은 백석의 ‘고향’이다. 이 단원의 학습 목표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에 비추어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시를 감상하고, 자신의 삶과 자신을 둘러싼 주위 세계를 성찰할 수 있다.’이다. 이 소단원은 교육 과정의 성취 기준 ‘[10-문학-(3)] 인간의 보편적인 삶의 조건에 비추어 문학 작품을 이해한다.’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학 작품이 그려 내는 역경과 극복, 사랑과 이별 같은 삶의 문제는 개별적인 동시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것이다. 실제로 독자가 문학 작품에 공감하는 것은 문학 작품이 이러한 보편적인 삶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단원은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삶의 조건에 비추어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을 통하여 자신과 주의 세계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하였다. 즉 이 단원에서는 문학의 보편성을 바탕으로 하여 삶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체험한 삶의 조건을 활용하여 문학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시는 전원이 함께 읽는다. 두 번 읽는 것도 좋다.

고향(故鄕)
백석(白石)

나는 북관(北關)에 혼자 앓아누워서
어느 아침 의원(醫員)을 뵈이었다.
의원은 여래(如來) 같은 상을 하고 관공(關公)의 수염을 드리워서
먼 옛적 어느 나라 신선(神仙) 같은데
새끼손톱 길게 돋은 손을 내어
묵묵하니 한참 맥을 짚더니
문득 물어 고향이 어데냐 한다.
평안도(平安道) 정주(定州)라는 곳이라 한즉
그러면 아무개 씨(氏) 고향이란다.
그러면 아무개 씰 아느냐 한즉
의원은 빙긋이 웃음을 띠고
막역지간(莫逆之間)이라며 수염을 쓸는다.
나는 아버지로 섬기는 이라 한즉
의원은 또다시 넌즈시 웃고
말없이 팔을 잡아 맥을 보는데
손길은 따스하고 부드러워
고향도 아버지도 아버지의 친구도 다 있었다.

시의 접근은 ‘숲을 보고 나무를 보는 식’이어야 한다. 이는 구조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숲을 보는 습관이 몸에 배면 다른 시를 공부할 때도 접근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북관, 여래, 관공’ 등은 가능한 한 설명하지 않고 뒤로 미룬다. 시는 시적 화자의 구조화된 경험 세계다. 따라서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적 화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그려 보아야 한다. 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시의 내용을 산문으로 써 보게 했다.



(예시 답)
시적 자아는 낯선 타향에서 병을 얻어 의원을 찾는다. 의원으로부터 고향이 어디냐는 물음을 받고, 시적 자아는 자신의 부친과 의원이 막역한 친구임을 확인한다. 그 순간 시적 자아는 잊고 있던 고향을 떠올린다. 고향은 자신의 출생지이며 아버지를 비롯한 가족이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친구도 있다.

시의 주제 찾기도 아이들과 함께 했다. 주제를 찾기 위해서는 시에서의 주제 성격과 파악 방법을 알아야 한다. 시에서 주제는 시 속에 형성된 중심 생각이나 정서이다. 정서는 인간이 어떤 상황에서 보여주는 내적 반응이다. 즉 심리 상태이다. 시의 이러한 심리적 상태를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시의 주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시의 주제를 찾기 위해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발문) 시적 자아는 누구이며, 어디에 있는가?
(답) 시적 자아는 ‘나’로 타향에 있다. 몸이 아프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을 앓고 있다.
(발문) 거기서 무엇을 하고(보고) 있으며,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답) 시적 자아는 몸이 아파 의원을 만났고, 의원이 진맥을 하고 있다.
(발문) 시적 자아는 어떤 처지에 있는가?
(답) 시적 자아는 의원에게서 따뜻함을 느끼고, 고향과 아버지, 아버지의 친구도 만나고 있다.
이렇게 전개하면 아이들은 주제(고향과 혀율에 대한 그리움)가 무엇인지 스스로 알게 된다.
다음은 시의 형식을 알아본다. 역시 다음과 같은 수업 과정을 전개해 본다.
(발문) 이 시는 연 구분이 있나? 혹시 몇 행인가?
(답) 없다. 시는 연 구분 없이 전 17행의 단연시 구조로 되어 있다.
(발문) 이 시의 구조상 특이한 것은?
(답) 이 시는 인물들 사이에 주고받는 대화와 시적 상황을 압축적으로 서술하는 기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이 진행되면 아이들은 시를 어느 정도 이해했다고 생각한다. 나머지 아래 정보는 선생님이 설명을 한다.
1. 북관 : ‘함경도’의 다른 이름.
2. 여래 :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
3. 관공 : 관우(關羽)를 높여 부르는 말.
4. 넌지시 : ‘넌지시’의 옛말. 드러나지 않게 가만히.

덧붙여 다음 내용을 설명한다. 사람이 타향에 혼자 앓아누우면 아픔이 더하다. 의원은 ‘나’가 타관을 떠도는 외로운 처지임을 단번에 알아차리고, 문득 ‘고향이 어데냐’ 묻는다. 여기에 이 시의 전개의 묘미가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시의 마지막 단락에서 ‘손길은 따스하고 부드러워/고향도 아버지도 아버지의 친구도 다 있었다’와 같은 직접적인 감정 토로는 특별한 시적 수사 없이도 절실한 감동의 울림을 주고 있다. 그것은 셋째 단락에서 화자를 진맥하는 의원의 행위와 그와 함께 나눈 대화를 통해 그러한 정서가 충분히 환기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화자는 이러한 이야기를 주관적인 감정을 최대한 억제한 채 제시하고 있다. 3연에서 진맥하는 의원의 행위와 표정을 객관적으로 표출, 즉 의원과의 극적이고 생생한 대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학습 활동하기를 한다.

1. 이 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적어 보자.
(지도 방안) 이 시는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의 내용을 통해서 화자가 처한 상황을 찾아보게 한다.
(답) 낯선 타향인 북관에 혼자 앓아누워 있다가, 어느 의원에게 진맥을 받게 된다.
2. 화자가 의원의 인상을 표현한 부분을 찾고, 의원에 대해 어떤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 보자.
(지도 방안) 시의 내용을 보면서 화자가 의원의 인상을 표현한 부분을 찾도록 한다. 그리고 (1)의 활동을 통해서 알게 된 화자의 처지를 통해, 의원의 인상이 화자에게 어떤 느낌을 주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답) 의원의 인상을 표현한 부분 : 의원은 여래 같은 ~ 수염을 드리워서, 먼 옛적 어느 나라 신선 같은데.
의원에 대한 느낌 : 화자는 의원을 여래(부처) 같은 자비롭고 인자한 얼굴에, 관운장 같은 수염을 지닌 위엄 있는 인물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의원이 병만 고치는 것이 아니라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까지 고쳐주는 존재로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
3. 화자가 고향에 가지 않고도 고향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인지 말해 보자.
(지도 방안) 시의 마지막 부분 ‘손길은~있었다.’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화자는 고향 사람을 만나고 손의 접촉을 통해, 그리고 나눈 대화에서 이끌어내도록 한다.
(답) 화자는 타향에서 아버지로 섬기는 이와 친구 사이인 의원을 만남으로써 고향을 느낀다. 의원과의 대화와 맥을 짚는 따뜻한 손길을 통해 고향을 느끼며 위로를 받는다.

아이들은 고향을 떠난 경험은 없지만, 화자가 처한 상황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화자가 처한 감정을 자유롭게 말할 수는 있다. 위 수업은 화려한 매체나 흥미로운 수업 구조도 없다. 그럼에도 이 수업은 진행하면서 학생들도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학습 목표도 효과적으로 완수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