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7.4℃
  • 맑음강릉 20.4℃
  • 맑음서울 27.6℃
  • 맑음대전 28.8℃
  • 맑음대구 30.8℃
  • 맑음울산 24.2℃
  • 맑음광주 29.2℃
  • 맑음부산 23.4℃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2.4℃
  • 맑음강화 23.2℃
  • 맑음보은 28.3℃
  • 맑음금산 28.0℃
  • 맑음강진군 29.2℃
  • 맑음경주시 30.9℃
  • 맑음거제 28.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따뜻한 눈으로 수업 보기

수석교사 업무 수행을 위해 선생님들에게 수업을 공개하라고 주문을 한다. 이제 수업을 잘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말고, 내 수업을 보여주는 시대라고 역설하고 다닌다. 수업을 잘하기 위해서, 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공개해야 한다는 논리를 들이댄다.

맞는 이야기다. 교사는 좁은 교실에서 수업을 하면서 공개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유는 여럿이겠지만, 그 중에 들리는 핑계가 보여줘야 별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다. 수업을 보는 사람들이 교사의 목소리가 어떻고, 옷차림이 어떻고, 교실이 지저분하다는 등 수업 외적인 것만 지적하고 정작 필요한 것은 이야기해 주지 않는다. 즉 우리는 수업을 보겠다 하지만, 무엇을 보겠다는 준비는 안 하고 있지 않나.

나도 마찬가지다. 신규 선생님께 도움을 준다는 명목으로 수업 참관을 했다. 선생님을 볼까. 아이들을 볼까. 선생님을 보면 무엇을 보아야 하나. 아이들을 보면 어떤 면을 볼까. 이 생각 저 생각을 휘적거리며 수업에 들어갔다.

수업 외적인 것은 보지 않겠다고 다짐했는데, 가정 먼저 선생님의 옷차림이 보인다. 봄빛 블라우스가 눈에 들어온다. 4월인데도 교실 밖은 강풍이 분다. 봄빛도 저 남녘에만 머물러 있다. 그런데 교실은 벌써 따스한 햇살이 들어와 서성인다. 교사의 옷차림 등을 보지 말라고 하는 것은 수업과 직접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 수업에서 선생님의 차분한 옷차림은 수업에 녹아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선생님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움직임은 학습 내용과 함께 융화된다. 교실에 학생들도 참관하는 나도 덩달아 밝다.

내가 보는 수업은 지금 한 시간이지만, 보이는 것은 한 시간이 아니다. 선생님은 아이들과 만난 지 한 달뿐이 안 되었는데, 이미 깊은 신뢰감을 형성했다. 교사가 아이들을 부르는 목소리나 아이들의 반응이 이미 오랜 관계를 맺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교사가 교실 이외의 공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야 한다. 평상시 학생의 문제에 공감해 주고, 대화를 통해서 인간관계를 만들었다는 경험이 있을 때 수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금 분위기가 그렇다. 이미 선생님과 하나가 된 학생들은 모두 흐르는 물에 편안하게 몸을 싣고 있다.



수업은 용언의 활용이다. 문법이다. 3학년 문법 수업을 어떻게 할까. 단원의 내용이 호기심을 돋운다. 수업 관찰을 한다고 하면 부담을 가질 듯해 사전에 당부를 했다. 어떤 꾸밈도 필요 없다고. 평소 수업을 보여주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뒤에 책상을 준비하고 약식 학습 지도안까지 놓았다. 선생님의 준비가 감동을 준다. 교실도 깨끗하다.

교사는 어간과 어미 설명을 하면서 쉬운 개념으로 비유했다. 줄기와 잎사귀 그림이었다. 개념을 쉽게 이해시키는 적절한 설명이고 시범이었다. 수업 시작과 함께 그림을 그리면서 학생의 시선을 잡았다. 오늘 수업의 성공 요인은 여기에 있다. 이 순간에 학생들은 수업에 쉽게 들어온다.

그런데도 일부 학생들은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용언이 어려운 모양이다. 수업 중에 교사가 발문을 하는데, 대답을 못한다. 사고력을 요하는 질문도 아니었다. 낮은 수준의 질문이었다. 그런데도 불과 서너 명만 대답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수업 수행 면에서 볼 때 선생님의 수업은 흠잡을 데가 없다.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이 명확하게 전개되었다. 교사의 질문도 간결하고 학생의 수업 참여율도 좋았다. 교사의 설명과 학생의 활동 시간도 적절하다고 보인다. 그리고 선생님이 직접 순회 지도를 하면서 개별 지도를 하는 것도 의미 있게 보인다. 그러나 관찰자가 볼 때는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단원이 어렵기도 했지만, 선생님이 너무 빠르게 수업을 진행했다는 느낌도 있다. 그리고 선생님은 칠판에 필기를 하고, 다음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바로 지웠다. 순간 판서 내용을 쓰고 있던 아이들이 당황한다. 판서를 구조적으로 해서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반복학습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리고 학생 활동을 제시할 때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아이들도 제법 있었다. 혹시 수업의 양 때문에 질을 챙기지 못한 것은 아닐까.

선생님의 수업은 전체적으로 교사 중심 수업이었다. 부분적으로 개별 활동도 하고 짝하고 모둠 활동도 했지만 그것은 일부였다. 용언의 개념을 설명하다보니 선생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이것이 나쁘다는 말은 아니다. 문제는 학생들이 수업 중에 수업 내용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문법은 용어 등부터 사전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가 힘들기 때문일 것이다. 이 문제는 결국 학습 구조에서 답을 찾으면 어떨까.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줌으로써 교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수업은 교사가 가르치고 학생이 배운다.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오늘 수업에서 교사는 수업 전에 어떤 설계를 했을까.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했을까. 선생님은 수업 성찰일지 작성을 하면서 의도한 대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했다. 배움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의미다. 수업에서 사전 준비도 중요하다는 점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수업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결국 나의 모습이다. 나도 저렇게 온화하게 수업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 묻는다. 아무튼 선생님은 신규 교사답지 않게 안정감이 있다.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지적 영역 못지않게 관심과 존중, 그리고 따뜻한 인정과 돌봄의 결과다. 간혹 젊은 선생님들이 자신의 카리스마로 수업을 기획하고 학생을 조정하려는 욕심을 낸다. 그보다 오늘처럼 학생들과 의사소통이 부드럽게 된다면 좋은 수업이 가능하다는 답을 얻었다. 오늘 수업을 보면서 선생님의 성장을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