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1.8℃
  • 맑음강릉 9.6℃
  • 구름많음서울 6.6℃
  • 구름많음대전 4.2℃
  • 구름많음대구 3.3℃
  • 맑음울산 6.2℃
  • 흐림광주 7.6℃
  • 구름많음부산 11.3℃
  • 구름많음고창 3.5℃
  • 맑음제주 11.8℃
  • 구름많음강화 3.3℃
  • 흐림보은 1.0℃
  • 구름많음금산 1.4℃
  • 구름많음강진군 4.4℃
  • 맑음경주시 2.4℃
  • 구름조금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국정감사 통계] 지쳐가는 교사, 흔들리는 학교

국감통계로 본 교권·학폭 실태 교육활동 침해 4200여 명 교사 심리치료 3천건 넘어 학교폭력, 줄지 않고 진화

2025년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가 막을 내렸다. 교권 보호와 학교폭력 근절은 매년 빠지지 않는 단골 의제이지만 올해도 통계는 개선보다 악화에 가까웠다. 수치는 냉정했고, 교실은 여전히 불안했다.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드러난 교권과 학교폭력의 현실은 대한민국 교육이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지를 묻고 있다. 2024학년도 교육활동 침해 심의 건수는 4234건에 달했다. 불과 5년 전인 2020년 1197건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가해 주체는 학생이 3773건, 학부모가 461건이었다. 침해 유형을 보면 생활지도 불응과 교육활동 방해가 29.3%로 가장 많았고, 모욕·명예훼손(24.6%), 상해·폭행(12.2%)이 뒤를 이었다. 교육활동에 대한 정당한 지도가 ‘침해 행위’로 둔갑하는 일이 빈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사들의 상담과 치료 요청은 더욱 늘었다. 2024년 한 해 동안 전국 교육활동보호센터에 접수된 교원 상담은 3만7829건, 심리치료 건수는 3210건이었다. 단순한 갈등이나 민원 수준을 넘어 정서적 소진을 호소하는 교원이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권침해 관련 소송비 지원 청구도 270건, 지급액은 8억8000여만 원에 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