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6 (목)

  • 맑음동두천 14.5℃
  • 맑음강릉 14.2℃
  • 맑음서울 15.9℃
  • 맑음대전 15.5℃
  • 맑음대구 18.9℃
  • 맑음울산 14.3℃
  • 맑음광주 16.2℃
  • 맑음부산 19.8℃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9.4℃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4.8℃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5.9℃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야단치기 전에 먼저 들어줘라

지난여름의 일이다. 김 선생님은, 창문에서 김 선생님 본인 이름을 존칭 없이 부르며 반말로 놀려대던 당사자가 진혁(가명)이라는 것을 알아내고 진혁이를 불러 “교무실로 와서 정중하게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지각과 조퇴를 밥 먹듯 하는 진혁이는 차일피일 사과를 미뤘고, 그 와중에 다른 사건을 일으켜 출석정지 열흘이라는 중벌도 받게 됐다.

방학이 돼 사건이 일어난 지 두 달이 지나갔다. 계속해서 진혁이가 사과를 하러 오지 않자, 김 선생님은 담임선생님께 정식으로 부탁해 진혁이가 사과를 하러 오도록 종용했다. 하지만 담임교사는 이미 학교생활에 너무나 완벽하게 부적응하고 교사 말을 밥 먹듯이 무시해 버리는 진혁이가 이런 요구를 들을 것 같지 않았는지 그냥 내버려 뒀다. 이에 김 선생님은 마지막 보루인 생활지도부장을 맡고 있는 필자에게 부탁해 혁이가 사과를 하러 오도록 요청했다.

진혁이를 불러 그 상황을 듣고 확인한 후 김 선생님께 사과를 하러 가도록 일렀다. 다행히 진혁이는 나름대로 2학기부터는 정신 차리고 학교에 잘 다닌다고 다짐해 놓은 터였다. 웬일인지 고분고분하게 사과하러 가겠다고 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난 후 물었을 때 진혁이는 아직도 사과를 하러 가지 않았다. 일단 사과를 하러 가겠다는 약속을 어긴 것에 대해 엄히 꾸짖었다. 그리고 이유를 물었다.

이유는 자기 아빠가 얼마 전 교무실에 오셨을 때, 아빠와 담임교사 앞에서 김 선생님이 자기를 비난해 기분이 나빴으므로 오히려 김 선생님이 자기한테 먼저 와서 사과를 해야 한다고 했다. 김 선생님이 먼저 사과를 하기 전에는 절대 사과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른바 삐딱선을 타고 강짜를 부리기 시작한 것이다. 사과하러 가기가 싫으니까 상대방의 약점을 물고 늘어지는 전형적인 태도라고 생각됐다.

이제 ‘공감’이 필요했다. 우선은 진혁이가 기분 나쁠 수도 있었음을 공감해 줬다. 김 선생님이 조용히 지적할 수도 있었는데 아빠와 담임교사 앞에서 비난한 것은 독약처럼 다가올 수도 있었을 것이다. “네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쁠 수도 있었겠구나”라는 간단한 한 마디로 말문을 열었다.

그렇게 약간의 ‘공감 대화’를 한 후에는, 진혁이의 잘못한 점을 나열해 나갔다. 나머지 대화의 대부분은, 시쳇말로, ‘까는’ 내용이었다. 요약하면, “김 선생님 입장에서는 두 달 동안 기다렸는데 사과 안하니까 그럴 수도 있다”, “넌 남의 잘잘못을 이야기하기 전에 네 행동부터 똑바로 해라, 남의 잘못을 운운할 때가 아니다”, “네 말대로 누가 잘못했다고 꼭 처벌이나 조치를 받아야만 한다면, 넌 벌써 벌점 수 백점 받고 징계 누적과 출석 정지로 우리 학교에서 쫓겨나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네게 관대하게 해 준걸 생각한다면 그런 말은 못한다” 등이었다.

바로 그 날, 다행히 진혁이는 김 선생님께 사과하러 갔고, 진심어린 사과를 했다고 김 선생님은 고마워했다. 또 진혁이는 본인이 사과하러 갔었노라고 보고하러 오기도 했다. 내심 칭찬을 바라는 것이었다. 이럴 땐 바로 ‘칭찬 서비스’ 들어가 주면 된다. 진혁이를 칭찬할 기회는 흔치 않다. 이럴 때 칭찬해 주지 않으면 언제 또 이런 기회가 올지 모르는 아이였다. 진혁이의 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소중한 순간인 것이다.

사실 처음 진혁이의 말을 듣고는 비위가 확 상했다. 제가 잘못해놓고서 잘못한 놈이 말도 안 되는 꼬투리를 잡아 본인의 잘못을 무위로 만들어버리려 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인이 알면서도 하는 괘씸한 행동이었다. 하지만 일단 꾹 참고 ‘공감 서비스’를 제공했다. 다시 말해, 과거에는 문제아를 그냥 혼내기만 했다면, 지금은 혼내기에 앞서 살짝 공감을 해 준 다음에 혼을 낸 것이다. ‘소통’ 관련 교육을 받기 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바로 이점이다.

그랬더니 놀라운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진혁이는 본인의 아픔을 공감해 준 상대방에 대한 고마움을 무시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행동의 변화가 생겼다. 그것도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소위 문제아들은 본인도 본인의 한심한 행동에 대해서 늘 자괴감을 느낀다. 늘 한심하게 행동하는 본인에 대해 스스로도 실망을 할 때가 많다. 그러나 본인의 모든 행동이 다 실망스럽다면 그 애는 어떻게 세상을 살아갈까? 그러다가 가끔씩이나마 본인의 아픔이나 자랑을 인정받는다면 그 아이에게 이 세상을 살아갈 때 큰 용기가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