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7.2℃
  • 맑음보은 17.1℃
  • 맑음금산 18.6℃
  • 맑음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의 눈> 일반고 위기의 해법

일반고는 전체 고교의 대다수(학생 기준 71.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목고, 자율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별받고 있다. 특목고, 자율고는 학생 선발 방식 등에서 혜택을 누리면서 우수한 성적의 학생들을 끌어간다. 그러다보니 대학 입학부터 좋은 성적을 내면서 사회에서 주목받는다. 반면 학생선발권이 없는 일반고는 교육활동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수준이 낮은 학교처럼 인식되고 있다.
 
행ㆍ재정적 지원만으로는 부족

이에 교육부가 일반고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자율화, 다양화다. 그동안 차별적 요인으로 지목되었던 필수이수단위와 과목별 이수단위 증감 범위를 2014학년도부터 일반고, 자율학교, 자율형 공립고 모두 통일하기로 확정했다. 이렇게 하면 각 학교가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 학생들이 각자 수요에 따라 고교를 선택, 진학할 수 있다고 봤다. 또 진로직업교육 확대는 물론 행ㆍ재정 지원 강화도 계획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ㆍ재정 지원만으로는 일반고 수준을 단숨에 끌어올리기는 어렵다. 일단 2013년 특성화고에서 탈락한 학생 1만 9000여명이 일반고에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해 직업 교육 등을 계획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장기적으로 특성화고 정원 증원 정책이 필요하며, 각자 적성과 흥미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진로 선택 교육을 중학교 때부터 강화하는 정책이 검토돼야 한다.
 
무엇보다 일반고 자체가 변해야 한다. 그나마 일반고에 희망을 주는 건 최근 입시 경향이 학생종합전형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로 일반고도 교육과정 자율성이 확대돼 차별화된 교육이 가능하다. 교과학습과 함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투입을 통해 성장점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미래 사회의 대처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쪽으로 교육을 확대한다면 가능한 일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일반고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교육청, 교육지원청 등 기관도 학생에게 컨설팅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는 교육의 큰 틀에서 중요시되는 가치가 달라져야 한다. 우선 좋은 학교의 관점이 변해야 한다. 좋은 학교란 학교 구성원이 공동의 교육 목표를 실현을 위해서 노력하는 학교이다. 교육의 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즐거워하고, 함께 성장한다면 그 학교는 교육에 성과를 낸 행복한 학교이다.

대입결과보다 ‘성장과정’ 중요

마찬가지로 학교의 우수성을 세칭 일류 대학에 진학하는 숫자로만 보는 것도 폐기해야 한다. 일반고는 상대적으로 학업 성적이 낮은 아이들이 들어오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교육 활동을 통해서 성장을 한 내용이 평가돼야 올바른 시각이다. 그렇지 않고 대입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일반고 위기론을 들먹인다면 돈을 아무리 쏟아 부어도 달라지는 것은 없다.
 
사실 특목고와 자율고의 출발점은 고교 평준화 정책의 보완책이다. 이는 개개인에게 교육 선택권을 보장하는 공정성에 부합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리 교육은 세계적 추세에 맞춰 평등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선택과 자율성의 길로 가야 한다. 그렇다면 일반고와 특목고, 자율고의 공존과 독자적 발전은 우리 교육이 감당해야 할 현실이다. 사회 구성원 모두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변화는 빠를수록 좋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