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25.6℃
  • 맑음강릉 31.5℃
  • 맑음서울 26.0℃
  • 맑음대전 27.6℃
  • 맑음대구 30.5℃
  • 맑음울산 28.2℃
  • 맑음광주 28.6℃
  • 맑음부산 23.7℃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5.5℃
  • 맑음강화 21.9℃
  • 맑음보은 26.4℃
  • 맑음금산 27.6℃
  • 맑음강진군 25.3℃
  • 맑음경주시 30.1℃
  • 맑음거제 23.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수업이 바뀌면 진짜 학교가 바뀔까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수업 개선을 촉구할 때 많이 쓰지만, 원래는 책 제목이다. 이 책은 교사들 사이에 스테디셀러로 인기를 끌었고 책 제목도 주목을 받았다. 이론에 치중하지 않고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정확하게 분석했기 때문이다.

교사 스스로 수업개선 열풍 고무적

그런 탓인지 주변에서 이런 이야기가 많다. 연수에 참여했는데, 장학관도 이 말을 예로 들어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사는 교육 개혁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라고 치켜세운다. 선생님들도 스스로 수업만 잘하면 학교가 즉 교육이 바뀔 것이라고 기대한다.

맞는 말이다. 교실은 교육의 시작이다. 그래서 정부도 그 동안 학교 시설 개선,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교육과정 개정 등을 계속 추구해 왔다. 이런 것이 결국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기 때문이다.

지금 학교는 고무적인 현상이 일고 있다. 학교 내에서 선생님들끼리 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선생님들이 수업을 고민하고 수업의 길을 스스로 찾고 있다. 아이들과 창의적으로 할 수 있는 수업을 꿈꾸고 학생들의 배움을 위해 수업을 디자인한다.

길을 찾는 방법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외부에서 성장 동력을 찾으려고 했다. 대규모 연수에 참가하고, 유명세가 있는 강사들의 입에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이제는 옆의 동료 교사, 선배 교사를 통해 배우려고 한다. 가까운 수업 실천 사례 연수에 참여한다. 그리고 수업 관련 책을 사서 보며 혼자 연구에 매진한다.

그럼에도 학교의 모습은 여전히 어렵다. 이유는 여럿 있지만, 무엇보다 교육정책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교육 개혁은 매번 이념적 타당성에도 현장에 정착되지 못했다. 정부와 일부 교육학자들이 주도한 탓이다. 학교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고 지시와 추상적 논리로 접근하다보니 현장 교사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교무실에서 하는 업무도 많다. 수업 준비를 해야 하는데, 상급 기관 업무 처리에 시간을 보내고 있다.

섣부른 교육 시책은 기초적인 교육 내용을 배제하고 피상적인 교육 목적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교육에 손을 대고, 임기 내 성과를 내려다보니 정책이 정착하기도 전에 새로운 정책이 들어선다. 4년마다 바뀌는 교육감으로 학교는 시도 때도 없이 흔들린다.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했는데, 정책이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점검할 새도 없이 지나고 있다. 

‘톱다운’ 실험정책도 지양해야

미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장기 발전을 위한 정책에 힘을 쏟아야 한다. 이상론에 가까울지 모르지만, 교육부처의 추진 계획과 정책은 법률적으로 독립시키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국민적 합의를 통해 범정부적·범사회적 차원의 기구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새 정부가 들어서도 기본 정책을 바꾸지 못하고 꾸준히 실천을 하도록 법제화하는 것이다.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는 표현이 말 그대로 수업만 바꿔서 학교를 바꿀 수 있다는 명제로 언급되면 안 된다. 교육 정책 당국자들이 책임을 은근히 교사에게 떠넘기는 용도로 쓰여서는 안 된다. 교실에서 교사만 잘 하면 교육이 성공할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이다. 그건 아주 기본일 뿐이지, 그것이 교육의 전부가 돼 서는 안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