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 맑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9.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2.9℃
  • 맑음대구 12.9℃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6.4℃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4.0℃
  • 맑음강화 10.9℃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학교 통일교육 새판 짜자

남북은 지난 22일부터 판문점에서 3박4일간 고위급 접촉을 가진 끝에 25일 새벽 군사 대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6개항의 합의 사항을 이끌어냈다.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순간을 무사히 넘겨 다행이다.

무엇보다 이번 남북한 대치 상황에서 2030세대들이 보여준 투철한 안보의식에 마음 든든하다. 최근 실시된 ‘국민 안보의식 조사’에서 남자 대학생 74.6%가 ‘우리나라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참전하겠다’고 답했다. 군대에 가지 않으려고 온갖 방법과 수단을 마다하지 않던 과거 일부 청년들과는 달리,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전역을 미룬 장병들이 속속 늘어났고, 예비역들까지 ‘언제든지 전선으로 달려갈 준비가 돼 있다’는 SNS의 글들에서 애국심과 자긍심이 살아있다는 것에 가슴 뭉클했다.

연평해전과 천안함 폭침 등을 겪으면서 북한의 침략과 위협에 이젠 더 이상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는 안보의식이 높게 자리 잡게 됐고 관련 영화들이 최근 개봉돼 흥행하면서 젊은이들의 애국심에 불씨가 살아났다는 평가다. 이처럼 통일의식은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서 시작된다. 지난해 통일부가 전국 초중고생 11만6000명을 대상으로 한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에서 청소년의 53.5%만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19.7%에 달했다. 이처럼 요즘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이 생각보다는 무관심 내지는 부정적이다. 이러한 문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엇보다 학교 통일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데 있다.

교육부는 올해 통일교육을 초·중·고교에서 연간 8시간씩 가르칠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의무사항이 아니다보니 하지 않아도 괜찮다. 일선학교에 통일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사들이 부족하고 여기에 현행 학교 통일교육은 도덕이나 윤리교과 일부 단원에서 북한에 관한 내용을 소개할 뿐이다. 학생들에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할뿐더러 현장중심의 체험교육이 어려운 점도 그 한계다.

우리 학교 현장에는 이미 많은 탈북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이해교육이나 이들을 위한 교육 자료가 없는 것도 통일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런 학교현실에서 올바른 통일의식과 관심을 갖게 한다는 것은 허상에 불과하다. 분명한 것은 학교 통일교육을 국민 불안이나 이산의 아픔을 해소하는 차원을 넘어 미래를 위한 가장 소중한 투자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통일편익은 통일비용보다 단기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더 크기 때문이다.

이제 학교 통일교육, 새 판을 짜야 한다. 분단 70년 동안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고 ‘꿈에도 소원은 통일’이었다. 그러나 그 꿈은 아직까지도 소원으로만 남아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에 대한 통일교육을 권고가 아닌 의무화해야 하고, 통일교육 전문가 양성으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전개해야 한다. 독일 통일을 일궈낸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총리가 “통일국가를 포기한다는 것은 민족의 자살이고 민주주의에 대한 배반”이라고 명언한 만큼 통일은 소중하고 중요하다. 우리는 이미 독일 통일에서 통일이 ‘대박’이라는 사실을 보았다. 그 밑거름이 통일교육이고 지금이 바로 적기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차원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추진됐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