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조금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15.7℃
  • 맑음서울 19.8℃
  • 맑음대전 18.6℃
  • 구름많음대구 18.4℃
  • 흐림울산 17.4℃
  • 구름조금광주 17.5℃
  • 구름많음부산 18.5℃
  • 구름많음고창 17.5℃
  • 구름조금제주 18.5℃
  • 맑음강화 19.3℃
  • 맑음보은 18.0℃
  • 맑음금산 17.5℃
  • 구름조금강진군 18.4℃
  • 흐림경주시 18.0℃
  • 구름많음거제 19.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좋은 습관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담임을 하다보면 자주 의아한 현상을 체험한다. 학급에서 일등 하는 학생은 항상 일등을 하고 5등하는 학생은 항상 그 정도, 15등 하는 학생은 항상 그 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많은 변수가 작용하는 것이 시험일 텐데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일까? 천차만별의 지적 능력에서 오는 걸까? 얼른 생각하면 매번 성적분포가 요동칠 법도 한데 항상 엇비슷하게 유지되는 걸 보면 어떤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 분명하다.

타고난 재주, 가정환경, 본인의 학습동기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겠지만 내 생각으론 공부습관에 달려있는 것 같다. 같은 공부습관이 매번 같은 수준의 성적을 내고 있는 것이다. 시험보기 2주일 전에 시험공부를 시작하는 학생은 습관적으로 2주일 전에 시작하고 한 달 전에 시작하는 학생은 꼭 한 달 전에 시작한다. 각자의 공부 스타일도 습관적이다.

어떤 학생은 교과서를 위주로 하고 어떤 학생은 참고서를 위주로 한다. 공부습관에도 관성의 법칙이 적용되는가보다. 똑 같은 공부습관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이다. 공부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텐데, 새롭게 습관들이기가 쉽지 않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라 하지 않는가? 한번 새로운 공부습관을 가져보자. 한 번의 성취는 성취욕을 자극하고 그것이 또 습관화되면 새로운 관성의 법칙이 적용될 것이다.

한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 공고에 근무하던 때였는데 항상 학급에서 꼴찌를 하는 학생이 있었다. 키도 크고 인물도 좋은 학생이었다. 아버지는 학부모 중에 몇 안 되는 대졸출신으로 크게 목장을 하는 사업가였다. 한 선배교사의 친구 분이기도 해서 한번은 셋이서 저녁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그 학부모는 어찌된 영문인지 몰라 답답해했다. 오죽 속이 상하겠는가? 나도 답답할 뿐 속 시원한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그 학생의 공부습관엔 문제가 있었다. 머리가 나쁜 게 아니라 전적으로 습관이다. 제일 뒤에 앉아서 전혀 공부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책과 공책을 꺼내놓는 것조차 귀찮은 듯 했고 제대로 필기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습관을 바꿔야 하는데 쉽지 않았다. 아주 오래 된 습관 같았다. 석차가 조금이라도 올라가기를 부모는 얼마나 바랐겠는가? 3학년 2학기 시험에서 그나마 꼴찌를 면하고 몇 명을 앞선 것은 그나마 다행이었다.

공부는 정말 습관이다. 생각이 행동, 행동이 습관, 습관이 운명을 만든다지 않는가? 학생들은 자신의 공부습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매번 2주 전에 시험공부를 시작하던 학생은 3주 전, 한 달 전에 시작하도록 바꿔야 한다. 핸드폰을 쥐고 공부하는 습관, 텔레비전을 보고 또 보는 습관, 책상에 앉아 공부에 집중하지 않고 딴 짓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공부는 습관이다. 좋은 습관이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