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24.3℃
  • 맑음강릉 27.7℃
  • 맑음서울 24.4℃
  • 맑음대전 25.2℃
  • 맑음대구 27.5℃
  • 맑음울산 24.5℃
  • 맑음광주 26.4℃
  • 맑음부산 22.0℃
  • 맑음고창 23.7℃
  • 맑음제주 20.3℃
  • 맑음강화 20.2℃
  • 맑음보은 24.7℃
  • 맑음금산 25.1℃
  • 맑음강진군 25.8℃
  • 맑음경주시 28.1℃
  • 맑음거제 23.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학원식’ 교육과 ‘학교식’ 교육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로 온 나라가 난리다. 평가를 해야 한다 하지 말아야 한다 의견이 분분하다. 국가에서는 실시하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거부하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2010년 2월 19일자 중앙일보에 '수업·열정·인성교육조차 교사가 학원강사에 졌다'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전국 107개 고교생 1만 3000명 중에서 사교육 경험이 있는 6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전문성, 학생에 대한 이해, 수업 만족도 면에서 학원강사가 앞섰다.

교육을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하나를 ‘학원식’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학교식’으로 이름을 지어본다.

‘학원식’은 철저한 개별 학생 위주이면서 평가를 강조한다. 학원을 들어갈 때 평가를 실시하여 수준이 되지 않으면 들어갈 수도 없다.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철저하게 수준별로 수업을 실시한다. 지도 후 평가를 실시하여 평가 결과에 따라 그 다음 단계의 공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 사이에 어느 학원에 레벨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서 학생의 수준이 비교된다. “내가 더 높은 단계이니까 내가 게 보다 수준이 더 높다.” 이것에 대해 이론의 여지가 없다.

또 학원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향상을 위해서 철저하게 개별로 지도를 한다. 그야말로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학생들도 자신의 수준을 올리기 위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노력한다. 그래서 많은 성적의 향상이 가능하다.

교사는 오직 가르치는 일에만 전념한다. 또 같은 내용을 수업이 반복하여 지도한다. 그래서 교사의 전문성이 신장될 수 밖에 없다. 달달달 외워서 가르친다. 그것도 1년만 그런 게 아니라 수 십년을 그렇게 한다. 그야말로 도사가 된다.

학부모는 ‘학원식’ 수업에 철저히 신뢰를 한다. 학교는 결석을 해도 되지만 학원에 절대 결석을 해서는 안 된다.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학교는 소위 ‘놀러’ 간다. 하지만 학원은 ‘공부를 하러’ 간다. 학교는 많은 숙제가 없지만 학원은 엄청난 숙제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

그래도 학생들은 학원에 간다. 학원에 가야 좋은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를 믿고 있다가는 대학을 들어가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른바 ‘학교식’ 수업은 많은 점에서 ‘학원식’ 다르다. ‘학교식’ 수업은 평가를 소홀히 한다. 오직 ‘지도’만 있다. 학생들은 공부를 하지만 자신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없다.

교사들은 학생 개개인들의 수준에 큰 관심은 없다. 전체 평균 성적에만 관심이 있다. 개별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와 특성을 반영하여 수업을 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평가에 관심이 적으므로 학생들은 수업에 부담이 없다. 숙제도 거의 내주지 않는다. 교사도 한 시간 수업을 통해서 모든 학생들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사실 불가능하다. 그래서 일단 교과 진도를 마치는 게 중요하다. 안 배웠다고 하면 안 되니까.

학교에서는 학습지도보다는 생활지도를 강조한다. 공부보다는 인성이 더 중요하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인성이 바른 학생을 선호한다. 공부는 잘 못하지만 태도가 바른 학생을 교사는 좋아한다. 다른 친구들을 도와 주고 자신이 손해를 보더라도 양보하는 학생을 좋아한다.

교사는 학습 지도뿐 아니라 학교에서 하는 일이 너무 많다. 어떤 일이 생기면 공부는 두 번째가 된다. 생활 지도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급하게 처리해야 할 공문이나, 추진해야 할 행사가 있으면 공부는 소홀히 하게 된다.

학생들은 그 사이에 집중력이 떨어지고 공부에 소홀히 하게 된다. 그 외에 각종 회의 등으로 교사는 쉴 틈이 없다. 교재를 연구할 시간이 없다.

학년도 매년 바뀐다. 한 교과를 반복해서 가르칠 수 없다. 어떻게 더 잘 가르칠까 궁리를 할 시간이 부족하다. 반을 달리하여 다른 학생들에게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가르쳐 볼 기회도 거의 없다. 학년도 바뀌기 때문에 올해 6학년을 했으면 내년에는 3, 4학년이나 1, 2학년으로 바뀐다.

그러면 교사는 또 새로운 교과 내용과 학생들에게 적응하느랴 시간을 보낸다. 모든 것이 시행착오의 연장이다. 시행착오를 거쳐 다시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그래서 교사의 전문성이 갖추어지지 않는다.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 연수를 강조한다. 그러나 연수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론적인 연수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연수를 받을 때는 그랬으면 좋겠다 하는데 직접 가르치는 상황에서는 별개의 문제다. 적용을 할 수 없다. 설사 아주 실제적인 경험이나 사례 중심의 연수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학생의 수준과 흥미, 교사의 경험의 변수가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

결국 가르치는 것은 교사 자신이 경험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인이 학생이었을 때 배웠던 방식이나 자신이 지금까지 가르쳐 왔던 방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면 전문성을 신장하는 방법은 교사가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가르쳐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래서 자신의 방법을, 시행착오를 통해서, 바꾸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학급 담임제보다는 교과 담임제가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학생들도 교사가 준비를 완벽히 해 오고 수업을 하기 때문에 훨씬 더 좋은 수업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학년 중임제’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같은 학년을 몇 년 동안 수십년 동안 가르치게 하는 것이다. “나는 5학년 전문입니다”라는 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그 학년 학생들의 특성을 가장 정확하게 판단하여 생활 지도를 할 수 있다.

또한 교과 지도에 있어서도 모든 내용을 속속들이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도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노하우를 가지게 된다. 또 계속해서 연구하는 태도를 갖게 되면 새로운 방법을 교사 스스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학원식’ 교육과 ‘학교식’ 교육의 장단점은 분명히 있다. 공교육과 사교육이 그 역할을 맡고 있다. 그것이 우리 나라의 현실이다. 어떤 것이 옳으냐 그르냐를 떠나서 학생이나 학부모가 선택하는 것은 현실적인 이유가 있다. 그런 수요자의 요구나 관심을 무시할 수 없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