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7.2℃
  • 맑음보은 17.1℃
  • 맑음금산 18.6℃
  • 맑음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목소리가 없다, 왜?

사실 따지고 보면 교원연구비가 사라지면서 보수가 깎이는 일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원들은 한 목소리를 내면서 뭔가 술렁여야 한다. 여기에 교권에 대한 대책없는 새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 역시 교원들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에 가만히 있어서는 안된다. 교원들의 목소리가 일치된 최소한의 행동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원들은 입을 다물고 있다. 학생인권조례로 교육현장이 멍들어도 교원들은 입을 다물고 있다.

이런 현실 때문에 정책당국에서 만들고 있는 각종 정책들이 현실과 동떨어지고 있다. 현실이 반영되지 않으니 그 정책들이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CCTV를 증설하고 화질을 개선하겠다는 엉뚱한 방향으로 예방책이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학교폭력 예방에 지대한 공을 세운 교원들에게 승진 가산점을 주겠다고 하는 것 역시 교육현장의 정서와는 거리가 있다.

학생들에게 학교폭력예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하면서 단순하게 매월 1회 이상 교육을 실시하라는 공문이 내려온다. 매월 100회를 한다고 해도 학교폭력을 줄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인위적으로 학교내에 경찰관을 배치하면 학교폭력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전담 경찰관을 배치하고 있다. 경찰관들이 주로 하는 일들이 예방활동이 되어야 하는데, 현장을 적발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것이 경찰들의 주된 업무였기에 예방에 대해서는 그들 역시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무작정 경찰관을 배치한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사실 여부가 어떤지 모르겠지만 경찰관들에게도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지대한 공을 세우면 인센티브가 주어진다고 한다. 학교폭력 전담업무를 맡은 경찰관은 일단은 인센티브 대상이 된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학교폭력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어느 곳에서나 학교폭력을 목격하고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시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학생들의 학교폭력 문제는 교묘하게 위장되는 경우들이 많아 경찰들도 쉽게 적발하기 어렵고 쉽게 해결하기도 어려운 것이다.

이 부분에서 만큼은 교원들이 경찰관들 보다 해결의 방법을 더 잘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도록 하는 제도적인 문제가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모두 미성년자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성인들 기준에서 접근해서는 곤란하다는 이야기이다. 기본적인 문제부터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야기가 잠시 빗나갔지만 보수가 삭감되는 일이 발생해도 교육현장은 의외로 조용하다. 정확히 어떤 것이 어떻게 삭감되는지 조차도 모르는 교원들이 많기 때문이다. 내 봉급이 삭감되고 있는데도 뚜렷하게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평소와 다름 없다고 하면 다소 과장된 것 일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조용한 것은 사실이다. 도리어 교원단체들이 나서서 문제를 제기하는 형국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학교에 근무하는 일반직들도 보수가 삭감되고 있지만 교원들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기류는 형성되지 않고 있다.

교권이 사라진지 오래지만 새 정부의 교육정책방향에 교권관련 내용이 없어도 그냥 지나치고 있다. 역시 무슨 내용이 어떻게 발표되었는지 잘 모르는 교원들이 많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아니고,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 내 봉급이 삭감되고 내 교권이 무너져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 왜 이렇게 교원들의 반응이 없는 것일까.

그 이유를 이렇게 보고 싶다. 첫째, 그동안 아무리 이야기해도 제대로 의견반영이 된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어떤 이슈가 있을때 교원들이 의견을 제시해도 반영되는 것은 아주 미미할 정도 밖에 안되고 있다. 그러니 교원들이 이제는 지쳐가고 있는 것이다. 둘째, 학생들 교육에만 매달려온 교원들에게는 이슈를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하루 하루 수업진도 나가고, 각종 업무처리하고..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아니 시간적인 여유 뿐 아니라 마음적인 여유마저도 사라지고 있을 것이다. 셋째, 교원들이 특성이 아닐까 싶다. 누가 먼저 이야기 하기 전에는 여러 이슈에 대해 이야기를 잘 하지 않는다. 정확히 알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관심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교직의 특성이라고 보는 것이 좀더 정확한 진단일 것이다.

교원들의 목소리를 대신 전달할 수 있는 교원단체들이 있어 그나마 현실을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이슈라도 입장차가 큰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같은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 교원단체마다 생각이 다르고 입장도 다르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당국에서 볼때는 교원들끼리도 의견조율이 안되었기 때문에 깊은 검토없이 정책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교원들의 목소리는 여타의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단지 표출되지 않고 있을 뿐이다. 도리어 더 많은 목소리들이 숨겨져 있을 것이다. 교육에 매달리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 뿐이다. 정서상 어쩔 수 없는 현실을 제대로 짚어내는 것이 정책당국에서 할 일이다. 말없는 다수의 정서를 헤아리라는 이야기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