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0 (월)

  • 맑음동두천 16.5℃
  • 맑음강릉 15.4℃
  • 맑음서울 18.5℃
  • 맑음대전 17.4℃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16.3℃
  • 구름조금광주 18.1℃
  • 맑음부산 18.0℃
  • 구름조금고창 14.4℃
  • 구름조금제주 18.8℃
  • 구름많음강화 16.2℃
  • 맑음보은 16.6℃
  • 맑음금산 14.6℃
  • 맑음강진군 15.1℃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6.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이제 삼국시대는 묻어두자, '대왕의 꿈'

9일 탈도 많고 말도 많았던 KBS 대하사극 ‘대왕의 꿈’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탈도 많고 말도 많았던’이라 말한 것은 그만한 까닭이 있어서다. 먼저 탈도 많은 것은 박주미(선덕여왕)의 교통사고, 최수종(김춘추, 태종 무열왕)의 잇따른 낙마사고 등으로 3주간이라는 초유의 결방사태와 출연진 교체 등이 이루어져서다.

말도 많은 것은 최수종 캐스팅 때문이다. ‘대왕의 꿈’은 KBS가 야심차게 준비한 ‘삼국시대 3부작’중 세 번째 대하드라마다. 백제 ‘근초고왕’ 감우성, 고구려 ‘광개토태왕’ 이태곤에 이어 신라 ‘대왕의 꿈’이 최수종을 타이틀 롤로 내세운 것이다.

최수종은 사극 전문배우로서 존재감을 유감없이 과시한 바 있다. 그가 주연인 ‘태조 왕건’(2000~2002), ‘해신’(2004~2005), ‘대조영’(2006~2007)이 각각 60.7%, 33.5%, 37.4%의 높은 시청률로 인기를 끌었던 것. ‘대왕의 꿈’ 최수종 캐스팅은, 이를테면 시청률을 담보하려 한 안일한 캐스팅이란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일인 셈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냥 희망사항으로 그치고 말았다. ‘대왕의 꿈’이 최수종 주연의 대하사극들에 훨씬 못미치는 한 자릿수 시청률(9.3%) 드라마로 종영되어서다. 2012년 9월 8일 당초 80부작으로 첫 방송을 시작한 드라마가 70회로 종영된 것도 그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그뿐이 아니다. ‘대왕의 꿈’은 13.2%(AGB 수도권 최고 시청률)의 ‘근초고왕’과 21.5%의 ‘광개토태왕’에 비해서도 외면을 받았다.

이제 삼국시대는 묻어둬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지만, 시청자들로부터 시큰둥한 대접을 받았다면 무슨 문제가 있는 게 아닌가? 가장 거슬리는 게 지나친 영웅화이다. 김춘추나 김유신(김유석)이 시대의 영웅인 건 맞지만, 어쩐지 닭살이 돋는, ‘역사는 승자의 기록’식 전개여서 70회까지 보는 내내 편한 마음은 아니었다.

물론 반당론자인 김유신과 태종 무열왕의 갈등 및 대척을 통해 나름 균제미를 살리려 한 의도를 간과할 수는 없다. 결국 평양 이남까지로 영토가 줄어드는 반쪽짜리 ‘삼한일통’에 대한 찬반이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음에 대한 환기도 그 지점에서 빛을 발한다.

역사에 가정이 있을 수 없지만, 하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해 오늘 대한민국은 이렇듯 분단시대에 살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어쩔 수 없다. 물론 이후 고려가 북한까지 아우르는 통일국가로 등장하지만, 동쪽에 가장 후미진 신라가 중국의 잦은 침략전쟁을 곧잘 물리쳤던 고구려 대신 삼한일통을 달성한 건 필자로선 아쉬운 역사적 사실이다.

특히 “백성 20만 명을 살릴 수 있어 당군 20만 명을 삼한일통 전쟁에 빌려 쓴다”는 태종 무열왕의 견강부회는 좀 그렇다. 김춘추의 외세를 끌어들인 통일전쟁에 그나마 역사적 당위성이 부여되는 건 고구려 멸망(668년)때다. 신라가 있어 당의 식민지를 면케 되었으니 말이다. 하긴 나당 연합군이 아니었으면 고구려가 그렇듯 속절없이 망하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쉬운 점은 극 전개에서도 느낄 수 있다. 대하드라마라 해서 남녀간 사랑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럴망정 초반부 천관녀(이세영)의 김유신 사랑은 부적절해 보인다. 천관녀는 그렇듯 개인적 사랑을 자유롭게 대놓고 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 오히려 15회부터 나오기 시작한 김유신 첫째 누이동생 보희(민지아)의 비형(장동직), 법민(이종수)의 연화(홍수아) 사랑이 팩션을 전제로 할 때 봐줄만하다.

비단 ‘대왕의 꿈’만의 경우는 아니지만, 거슬리는 언어사용도 여전하다. 살아있는 자신의 아버지를 예사로 ‘아버님’으로 부르는가 하면 어찌된 일인지 10회에서 아직 왕족일 뿐인 김춘추는 자신의 아내를 ‘내 부인’이라 스스로 높여 불러 시청자들을 의아하게 만들고 있다.

명색이 대하드라마인데도 비담(최철호)의 반란 과정 묘사는 무슨 ‘애들 놀이’ 같은 인상을 풍긴다. 반란중 선덕여왕(홍은희)이 소집한 어전회의에 비담이 참여하는가 하면 군주와 신하가 입씨름 시합마저 벌이고 있으니, 글쎄 삼국을 반쪽 통일한 신라시대엔 그리 했는지 역사적 사실이 무척 궁금해진다.

그렇더라도 정통 대하사극 하나쯤은 방송되어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KBS가 당분간 대하사극을 쉬기로 해 대왕의 꿈’ 종영 이후 그 시간대에 다큐멘터리가 방송되고 있어서다.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 KBS라면 제작비나 시청률에 구애받지 않는 정통 대하드라마를 방송하는 것이 맞다. 단, 삼국시대는 묻어둔 채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