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7.2℃
  • 맑음보은 17.1℃
  • 맑음금산 18.6℃
  • 맑음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대안없는 문제지적, 이제는 끝내야

최근 이름을 대면 금방 알 수 있는 어느 일간지의 인터넷 기사에 학교평가와 교원성과상여금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한 내용을 읽었다. 현실성이 없는 평가기준으로 인해 학교와 교원들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내용이었다. 공감을 하는 부분들도 있었지만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들도 꽤나 있었다. 공감하지 못하는 부분은 대부분의 학교와 교원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을 모든 학교와 교원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처럼 씌어진 내용들이다.

교원연수와 관련하여 교과준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연수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교원연수가 꼭 교과준비와 관련된 연수만 받는 것이 맞는지 묻고 싶다. 평가를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몇만원 돈을 들이면서 하는 연수가 부당하다는 논리이다. 필요하지도 않고 돈이 드는 연수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수의 기본은 교원의 전문성을 높이는데에 있다.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연수는 찾으면 얼마든지 있다. 연수를 점수화해 성과급평가에 넣으니 어쩔수 없이 받는 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교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연수를 받고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옳다고 보기 때문이다. 생각보다 많은 교원들이 전문성 신장을 위해 연수를 받고 있다. 평가를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연수를 받는 교원보다 필요에 의해서 연수를 받는 교원수가 더 많다.

연수 신청에 들어가는 수강료는 거의 대부분 학교에서 보전을 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당장에는 교사 자신의 돈이 들어 가지만 최종적으로는 금전적인 손해가 따르지 않는다. 억지로 연수를 받는 것도 문제인데, 돈까지 든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논리이다. 매년 연수를 단 한시간도 안받고 지나가는 교사들도 있다. 그렇다면 연수를 받지 않는 이들 교사들이 과연 다른 교사들에 비해 전문성이 높은 우수교사들일까. 물론 그런 교사들도 있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교사들도 있을 것이다.

학교성과급 평가에 연수실적이 들어가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받는다고도 했다. 일단 평가가 진행되고 그 평가지표에 연수이수실적이 들어간다면 학교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다른 지표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는데 연수이수실적 때문에 낮은 등급을 받았다면 연수이수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평가를 해서 등급을 매기는 수단이 연수이기 때문에 받을수 없다는 논리가 옳은 것일까.

수업공개 횟수에 대한 언급도 있다. 수업공개 횟수가 문제가 아니라 수업의 질이 문제라는 것에는 필자도 공감을 한다. 그러나 어떤 교감은 '교감이 될 때까지 공개수업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했다. 마치 무용담처럼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공개수업을 한번도 하지 않은 교감이 교감이 된 후 교사들의 수업을 보고 평가하게 되는데, 객관적이고 전문성있는 평가가 가능할까 의심스럽다. 경력이 20년이 넘은 교사들 중에도 공개수업을 아직까지 한번도 하지 않은 교사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것은 자랑거리가 아니고, 부끄럽게 받아들여야 한다.

필자는 최초 발령을 받은 해에 공개수업을 했다. 정말로 어떻게 수업을 했는지 모를 정도로 당황했다. 그런데 그 당황했던 수업이 그 시간 이후의 수업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됐다. 그 이후로 거의 2년에 한번씩은 공개수업을 했다. 잘 해서 한 것이 아니고, 다른 교사들이 공개수업을 꺼렸기 때문에 억지로 맡아서 했다. 올해도 공개수업을 했다. 지난해에는 지구별 공개수업을 했다. 공개수업을 하면서 전혀 긴장없이 한다면 믿지 않겠지만 거의 긴장감 없이 평소의 수업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포멧을 바꿔서 하기도 한다.

결국 공개수업의 경험이 있느냐와 없느냐는 수업의 질과 직결된다고 본다. 또한 수업에서 얼마나 자신감있게 수업을 할 수 있느냐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공개수업을 자주 하면서 수업방법에 대한 고민도 하게 된다.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업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고 적용도 하게 된다. 단 한번의 공개수업도 하지 않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들 사에는 보이지 않는 차이가 많다고 본다.

공개수업을 부담없이 할 수 있었던 것은 교직경력이 아주 짧은 시기에 공개수업을 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수업에 관련된 연수를 많이 받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매년 포멧을 조금씩 바꿔가면서 공개수업을 하고 있다. 그 수업은 그대로 수업시간에 적용한다. 각종 수업모형을 잘 들여다 보면 자신의 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들이 아주 많다. 협동학습도 그 중의 한가지 모형이다. 순환학습도 시도해 볼만한 수업모형이다.

교사들이 스스로 알아서 연수도 하고 자율적으로 장학활동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생각만큼 스스로 알아서 대처하는 교사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 걸림돌이다. 평가가 실시되는 현실이 지속되면서 최소한 외형적으로는 교사들이 연수를 열심히 받는 분위기를 볼 수 있다. 평가결과를 잘 받기 위해서 시작된 분위기가 이제는 거의 모든 교사들이 연수를 받는 분위기로 변했다. 아무리 클릭만 한다고 부정해도 해당 연수를 클릭하다보면 분명히 한 두 가지는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연수를 받지 않은 것보다는 조금이긴 해도 어쨌든 전문성이 향상된 것이 아닐까.

이야기가 좀 다른 방향으로 흘렀지만 학교교육에 대한 문제점 지적은 정말 쉬운 경우에 해당된다. 문제는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에 있다. 필자가 보았던 기사는 대안없이 문제점만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그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 대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정황상으로 볼때 대안은 학교평가, 성과급평가 등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부분에는 필자도 공감을 한다. 그러나 평가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평가지표를 어떻게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지적이 있어야 했다.

가령 학교장 중심으로 자율적인 평가를 하되,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학교의 구성원들이 책임을 지도록 단위학교에 대폭적인 자율권을 달라고 하던가, 교사들의 동료장학을 활성화 시킨다거나 이런 대안이 있어야 한다. 현재의 동료장학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들이 많다. 이를 실질적인 동료장학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하자는 이야기이다. 또한 평가에 학교별 여건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대안제시가 필요한 것이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볼때는 일렬로 답안작성을 하지 못하도록 지도 하고, 학교시험에서는 그냥 뇌둔다는 이야기에도 이의가 있다. 당연히 학교시험때도 그렇게 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만일 학교시험에서 그런 학생을 지도하지 않았다면 그 교사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많은 학교에서는 학교의 정기고사에서 일렬로 답을 쓰거나 대충 쓰고 잠자는 학생들을 지도하도록 시험전에 교직원 연수에서 강조를 하고 있다. 어떤 학교가 그대로 놔두는지 궁금하다.

연수문제 지적도 그렇다. 연수를 받고 안받고는 교원 스스로 결정해야 하겠지만 최근의 교육현실은 교원들이 더욱더 많이 공부하고, 전문성을 높여야 하는 분위기이다. 이의를 제기한다면 연수기관의 난립으로 인해 질이 낮은 연수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수원을 철저히 평가하여 질낮은 콘텐츠를 유지하고 있는 연수원은 인가취소를 해야 한다. 클릭만 하기 때문에 연수의 효율성이 없다는 지적은 모든 교원들에게 지지받기 어려운 지적이다.

결론적으로 최소한의 대안을 함께 제시해야 옳다. 문제만 나열하고 대안이 없다면 기사 자체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기사를 쓰기 위해서는 관련 대안도 함께 제시해 그 대안이 현실성이 있는지 검증을 받는 것도 문제 제기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문제만 제시한다면 '그래서 어떻게 하자는 이야기인가?'라는 질문을 곧바로 받게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