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6.1℃
  • 맑음강릉 20.5℃
  • 맑음서울 25.5℃
  • 맑음대전 26.8℃
  • 맑음대구 27.8℃
  • 맑음울산 26.3℃
  • 맑음광주 26.7℃
  • 구름조금부산 22.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2.7℃
  • 맑음강화 23.3℃
  • 맑음보은 25.7℃
  • 맑음금산 26.1℃
  • 맑음강진군 27.2℃
  • 맑음경주시 29.3℃
  • 맑음거제 2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글쓰기 교육으로 국어교육 강화해야

서울대가 2002년 이후 12년 만에 교양교과 과정을 전면 개편한다. 8월 30일 보도에 의하면 서울대 기초교육원 “2014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서울대 교양교과과정 개편안’을 최근 확정지었다”고 밝혔다. 허남진(철학과 교수) 기초교육원장은 “학생의 선택 범위를 넓히기 위해 2010년부터 연구를 거쳐 개편안을 확정했다”며 현재 세부 항목에 대해 단과대별로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개교 이래 모든 단과대 신입생이 의무적으로 들어야 했던 ‘대학국어’ 과목이 폐지된다. 대신 ‘대학 글쓰기의 기초’ ‘인문학 글쓰기’ ‘사회과학 글쓰기’ ‘과학과 기술 글쓰기’를 교양 과목으로 지정했다. 학생들은 4과목 중 1개 과목을 골라 수강하면 된다. 이밖에도 영어 실력이 뛰어나 대학 강의를 듣지 않아도 되는 수준의 신입생은 다른 외국어 두 과목을 이수하도록 했다. 그리고 핵심 교양을 폐지하고 일반 교양 200여 과목과 통폐합해 ‘학문의 세계’라는 과정으로 바꿨다. 융합·실습 위주의 과목으로 편성된 ‘자유선택교양’ 과정을 신설하고, 체육교과도 축소했다.

이러한 조정은 시대 변화에 교과목을 통폐합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고 판단된다. 그런데 염려스러운 것이 있다. 대학국어의 폐지다. 이에 대해 대학 관계자는 “고등학교에서 이미 배운 과정을 대학에서까지 반복할 필요가 없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는 국어교육에 대한 생각을 잘못한 것이다. 이런 논리라면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우리말을 유창하게 하는 아이들에게 국어교육을 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와 같다. 국어는 내용을 가르치는 교과가 아니다. 내용을 가르친다면, 당연히 중학교 때 배운 것은 고등학교 때 가르칠 필요가 없고, 고등학교 때 배운 것은 대학 때 가르칠 필요가 없다.

국어 교육은 건전한 교양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국어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있다. 국어의 발전과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국어 교육은 내용보다 능력,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교육은 사회 현상과 떨어질 수 없다. 교육의 본질은 사람이 세상에 잘 어울려 살도록 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을 통해 교양인으로서의 언어 윤리도 가르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삶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를 가르쳐야 한다. 우리는 삶의 방식을 언어를 통해서 한다. 배움도 마찬가지다. 배움이란 대상 세계인 사물과 나누는 대화이다. 이 모든 것이 언어 즉 국어로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국어 교육은 학문을 위한 삶을 위한 도구가 된다.
 
다행히 대학 측은 이번 조치를 발표하면서, 대학국어 대신에 “단과대별로 필요한 글쓰기 기술을 특화해 가르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필자는 이 전환이 오히려 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이 되기를 기대한다. 국어 교육의 완성은 쓰기이다. 쓰기는 국어 교육의 종착점이다. 그런데 우리 교육은 글쓰기 교육을 외면해 온 측면이 있다. 최근 사회는 SNS 소통이 확산되고 개인 미디어가 늘어나면서 글쓰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글쓰기는 직장에서도 필요성이 늘고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해 대학에서는 글쓰기 강좌에 힘을 쏟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이다. 경희대는 2010년부터 교양 교육을 강화했는데, 글쓰기 교육을 중요 영역으로 설정했다. 신입생은 글쓰기 두 과목(나를 위한 글쓰기, 세계를 위한 글쓰기)을 의무적으로 수강해야 한다. 경희대뿐만 아니다. 서강대, 한국외대, 성균관대, 건국대 등 여러 대학이 글쓰기 교육을 하고 있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자연계열 학생들도 참여한다. 특히 과학자들은 연구 결과를 보고서로 쓰고, 기타 논문을 써야 하기 때문에 글쓰기가 중요하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외국에는 일찍부터 시작했다. 미국 MIT는 글쓰기 커뮤니케이션을 센터를 두고 학생들을 교육한다. 이런 일이 생긴 이유는 1980년 졸업생들의 건의로 시작했다고 한다. 즉 전문성을 가진 졸업생들이 직장과 연구소에서 여러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대학에 글쓰기 과정이 필요하다고 건의를 한 것이다.

실제로 과거에는 업무가 주로 상명하달식으로 이루어졌다면, 지금은 수평적 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글쓰기는 정보 전달을 하고 혹은 상대방을 설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평적 리더십은 글의 힘으로 발휘할 수 있다. 직장에서도 핵심 업무 처리와 중요한 업무 처리는 글쓰기에 의해서 좌우된다. 과학자도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어도 논문이라 보고서를 학회에 발표하지 않으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 서울대의 대학 국어 정책은 우리나라에서 파급 효과가 크다. 다른 대학들도 따라 할 확률이 높다. 시대적 변화이니 탓할 마음은 없다. 하지만 걱정스러운 것이 있다면 대학 국어가 고등학교 때 배운 것이기 때문에 필요 없다는 논리이다. 그러면서 여전히 기대를 갖는 것은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국어 교육이다. 글쓰기와 같은 교육으로 모든 학문의 뿌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