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17.8℃
  • 맑음서울 23.5℃
  • 맑음대전 24.7℃
  • 맑음대구 29.3℃
  • 맑음울산 21.8℃
  • 맑음광주 24.1℃
  • 맑음부산 20.3℃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1.4℃
  • 구름조금강화 19.4℃
  • 맑음보은 24.9℃
  • 맑음금산 23.4℃
  • 맑음강진군 24.4℃
  • 맑음경주시 22.6℃
  • 맑음거제 23.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평가는 더 좋은 교육을 위한 과정

학교 교육활동에서 비중이 큰 것은 무엇일까. 시험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시험하면 성적이 바로 생각난다. 시험은 반드시 성적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다. 그 결과는 점수와 석차로 나타나면서 누군가에게는 매력 있게 누군가에게는 고통스럽게 다가온다. 시험에 의해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이 한 순간에 구분된다. 가정에서도 점수 때문에 혹은 등수 때문에 부모님께 혼이 난다. 그래서 아이들은 시험이 부담스럽다.

시험 결과로 표시되는 숫자는 허구적 믿음을 준다. 숫자에 의해 잘하고 못하는 인식을 갖는다. 숫자에 의해 이기고 졌다는 판단을 한다. 수량화에만 치중하면서 교육이 본래 추구하고자 했던 목표는 숨어버린다. 개별 현상이 갖는 특수성은 무시되고, 이제 숫자에 의해 타인 지향적인 경쟁 심리만 만들어진다. 90점이라는 높은 점수도 상황에 따라서는 만족하지 못한 것이 된다. 점수가 낮아도 석차가 올라가면 잘한 것이 되기도 한다.

이런 관점은 시험에 대한 오해에서 만들어진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시험은 교육평가 영역이다. 교육평가는 교육을 평가하는 것이다. 교육이라는 말에는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이 포함돼 있다. 그렇다면 평가에는 가르치는 것도 포함돼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배우는 것을 평가하는데 치우쳤다. 그러다보니 시험 성적을 내고, 그에 따라 아이들이 일렬로 줄을 서야 했다. 지금까지 우리 교육에서 평가는 교육활동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 성적을 산출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뒀다.

평가의 의미도 다시 새겨야 한다. 평가란 단순한 측정이 아니다. 어떤 것의 가치나 수준을 판단하고 평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험의 결과로 나온 점수에 대해 가치 판단을 해야 진정한 평가가 완성된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교육목표에 대한 타당성 점검과 교육과정, 그리고 수업 내용까지 교육적 가치를 판단해야 한다.

교육이라는 말에 가르치는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 것처럼, 이 영역에 대한 평가가 동반되어야 진정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평가의 결과가 다시 교육활동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결국 교육평가의 주요 목적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학습목표를 학생이 성취하였는가의 여부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평가의 형식을 반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동안 우리 평가 방식은 배운 내용을 암송하고, 단순 선택형 문항으로 측정하는 제도였다. 이러한 평가 방식은 현재 시험으로 인한 폐단을 고칠 수 없다. 서술형·논술형 평가 확대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서술형·논술형 평가는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정을 답안으로 작성한다. 따라서 그 반응을 분석하다보면 학생들의 사고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 목표 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할 수 있다.

시험을 치르고 점수를 통지하고, 등수를 매기는 시스템으로 어린 학생들은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와 배타적 경쟁을 한다. 이런 평가에서는 창의적 사고력,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 인성 등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없다. 그렇다고 아예 저학년 위주로 평가를 없애자는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취지는 이해하지만, 올바른 판단이 아니다.

성적 산출을 점수만으로 통지하는 방법을 개선하거나, 상대평가보다는 절대평가(현행 성취평가)로 전환하는 시스템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학력 신장 경쟁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역량을 기르는 교수·학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평가가 학습의 일부가 되는 과정 중심의 평가 패러다임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보다 나은 교육을 위해서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평가는 더 좋은 교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다. 평가는 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 평가 결과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절대적인 해석에 몰입하면 평가의 본질을 잃어버린다. 평가가 수단을 넘어 목적으로 변질된다. 교육평가가 마침내 비교육적 평가로 전락하게 된다.

평가는 교육활동의 일부로 그 자체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줄 수는 있다. 문제는 평가가 학생들에게 긍정이고 교육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평가는 단순히 실력을 겨루는 장이 아니라,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 장면이어야 한다. 그리고 선생님들에게도 교육의 열매를 맺는 수단이어야 한다. 이런 상황의 가운데 있는 사람이 교사다. 교사는 가르치면서 동시에 자신의 학급 속에서 참여적 관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평가전문가이다. 그런 의미에서 평가에서도 교사의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