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4.7℃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6℃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1.6℃
  • 맑음광주 15.1℃
  • 맑음부산 17.6℃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9.1℃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0.9℃
  • 맑음금산 12.4℃
  • 맑음강진군 14.5℃
  • 맑음경주시 10.4℃
  • 맑음거제 16.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잊혀진 교육이념 '홍익인간'

맹사성 대감 이야기
 
세종대왕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청렴의 아이콘'으로 꼽히는 고불(古佛)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은 유난히 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런 맹사성도 젊었을 때엔 혈기가 넘쳤다. 고려왕실의 보호자였던 최영(崔瑩)장군의 손녀사위로, 열아홉에 장원 급제해 스무 살에 파주 군수가 되어 부임했다.
 
어느 날 그는 관내 순시 중 한 아전으로부터 고명하신 선사가 기거하는 암자가 있다는 말을 듣고, 한번 가보자며 암자를 찾아 갔다. 선사와 인사를 나눈 뒤 물었다.
"스님, 군수인 제가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건 어렵지 않지요. 착한 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일인데 내게 해줄 말이 고작 그것뿐이오?"
 
맹사성은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러자 스님은 녹차나 한 잔 하고 가라며 붙잡았다. 차마 박차고 나갈 수 없어 맹사성은 못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스님은 그의 찻잔에 넘치도록 차를 따르고 있다.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치는 게 안 보이십니까?"
맹사성이 언성을 높여 말하는데도 스님은 태연히 계속 차를 따르고 나서 잔뜩 화가 나 있는 맹사성에게 말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아시면서,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스님의 이 한마디에 맹사성은 부끄러워 황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가다 문틀에 머리를 부딪치고 말았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

중국에서 발생한 유학은 송나라 주자에 의해서 성리학으로 부흥하였으며 조선의 이황에 이르러 완성되니 그를 성리학의 완성자라고 부른다. 성리학은 천성을 밝히고 따르는 일을 도(道)라 이르며 중요시 한다. 공부란 바로 그 道를 찾아 알고 더욱 수양하여 道를 넓고 깊게 하는 것이니 지식을 쌓는 것은 道를 알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고, 그 실체인 道를 자기 속에 밝혀야 참공부를 하는 것으로 여겼다.

오늘날 지식은 넘쳐나지만 지혜를 갖춘 사람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자기가 아는 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95%에 이르고 바르게 실천하는 사람, 즉 지혜자는 5%뿐이니 세상이 혼란스럽다. 특히 지혜를 갖추고 겸손한 사람은 참으로 만나기 어렵다. 아니, 그런 사람을 만나기 어려운 것은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고 은둔자로 살아가기 때문은 아닐까.

왕도를 제대로 배우지 못한 채 준비되지 못한 임금이었던 중종이 그 답답함을 풀고자 신하들에게 내린 질문을 보면 지금 세상과 너무나 닮아 있음에 놀란다. 역사란 반복되는 것이니!
"공자는 3년이면 나라를 태평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나는 왕이 된지 10년이 넘었건만 아직 아무것도 못하였다. 어떻게 하면 공자의 뜻을 이룰 수 있는가?"

중종의 질문에 답하는 조광조의 알성시의 문장은 다시 읽어도 가슴을 치는 대목들로 넘쳐서 여기에 옮겨본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명도(明道), 즉 도를 밝히는 일이며, 학문을 하는 것은 근독(勤獨) 즉, 홀로 있어서도 속이지 않고 삼가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정치란 바로 이 도를 밝히는 일에 다름 아닙니다. 그리고 道란 천성을 따르는 일을 말합니다. 예전에 어진 임금들과 성인들이 모두 이 道를 간직하고 있었기에 업적이 찬란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임금은 하늘이요, 신하는 사계절과 같습니다. 하늘이 뜻을 품어도 계절이 제 구실을 못하면 만물이 제대로 꽃피우고 열매 맺지 못합니다. 전하께서 굳이 정치를 하여 애쓰시지 말고 대신에게 맡기십시오. 단지 근독하시어 道를 밝히시는 태도로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그러면 조정의 법도가 바로 서고 나라의 기강이 절로 잡힐 것입니다."
<선비학자 이야기>중에서 인용함

잊혀진 교육이념 '홍익인간'

임금을 학교장으로 바꾸고 신하를 선생님으로 바꾸어 학교에 적용하면 모든 학교에서 착함이 넘치는 인성교육의 꽃이 피는 아름다운 나라가 될 거라는 확신이 들게 하는 문장이다. 성리학을 따르고 실천하기에 힘쓰며 공부했던 조선의 선비 정신은 지금 이 시대에도 절실한 도덕률이다.

학교 교육의 지향점이 '착한 사람' 곧 '어진 사람' 이어야 하는 이유다. 언제부턴가 잊혀진 교육이념이 된'홍익인간'이 새삼 생각나는 요즈음이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사상은 어디로 가고 갖춰야 할 덕목들을 줄줄이 교육과정이나 수업안에 명기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하는 사람은 열심히 배울 것이고 소통하고 공감할 것이며 배려하는 인간일 것이 분명하다. 그런 사람은 겸손의 주춧돌로 인성의 집을 지을 것이 분명하다. 그런 학생이라면 친구를 괴롭히거나 따돌리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우리 아이들에게, 자식들에게 '착하게 살자'라는 쉬운 말로 가르치면 참 좋겠다. 어렵게 인성 교육을 들먹이며 손에 잡히지 않는 구호들을 남발하지 않으면 참 좋겠다. 유치원 아이도 1학년 아이도 알 수 있고 금방 따라 할 수 있게 단순하면 좋겠다. 진리는 단순하기 때문에 설명할 필요가 없다. 높은 자리, 엄청난 富, 고관대작도 착하지 않으면 한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다. 착함이 지식보다 앞자리에 서는 세상이 되어야 살맛나는 세상, 행복한 세상이 될 수 있으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