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수능 만점만이 진정한 실력일까

교실에 신문 기사가 붙어 있다. 내용은 2016학년도 대입 수능 만점자 이야기다. 만점자 16명 중 재수생이 7명인데 이들 이야기다. 한 학생은 고3 때 수능에서 전 영역 1등급 성적을 받고서 지방대 의대에 합격했다. 하지만 쉽게 출제된 수능 점수에 승복할 수 없어서, 재수를 하고 이번 수능에서 만점을 받고 서울대 의대 정시모집에 합격했다. 다른 학생도 마찬가지다. 고3 때 응시한 수능에서 일부 과목을 2등급, 4등급을 받았다. 그는 원서도 넣지 않고 다시 시험보기로 결심했다. 이번 수능에선 만점을 받고 서울대 의대 정시모집에 합격했다. 인문계 여학생은 국어B에서 2등급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역시 만점이었다. 다른 학생도 일부 교과에서 만족한 등급을 받지 못했지만, 다시 도전하면서 만점을 받았다.

  수능 시험에서 만점을 받은 기사는 곧 최고의 실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실력이라는 것이 좀 이상하다. 만점자들은 하나같이 쉬운 수능일수록 실수 않는 게 실력이라고 말한다. 해서 시간을 재면서 같은 문제를 반복해 풀었다. 그리고 앞으로 쉬운 수능 기조가 이어질 것이므로 가급적 실수를 최소화하고 취약 과목에서 점수를 잃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의 고3 수험생들은 실수를 하지 않는 기술만 터득하는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한 문제를 틀리거나 두 문제를 틀리면 그것은 실력이 모자란 것이 아니라 실수다. 따라서 뒤도 볼 것 없이 재수의 길로 들어간다. 시간과 돈을 들여 실력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실수하지 않는 기술을 부지런히 연마한다.

  이런 평가를 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교육일까? 이러한 평가는 교육의 본질도 뒤틀리게 한다. 하나의 시험에 매달리면서 교육의 최고 가치인 다양성은 소멸한다. 평가도 개인의 능력을 점검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줄을 세우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얼마 전 페이스북에서 동영상을 봤다. 인생은 마라톤이라는 비유적 표현에 의문을 던지는 영상이다. 즉 우리는 늘 인생은 마라톤이라며 하나의 대열에 맹목적으로 합류해서 너나 할 것 없이 결승점을 향해 간다. 그 과정은 오직 경쟁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즐거움이 없는 고통만 따른다. 하지만 이 영상은 같은 길을 갈 필요가 없다는 반전의 메시지를 보낸다. 대열에 흩어져 각자의 방식대로 각자의 결승점에 가면 고생할 이유가 없다는 결론이다.

  개개인은 취향과 능력 등이 다르다. 따라서 교육의 본래 목표도 각 개인의 잠재능력을 끄집어내서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둬야 한다. 그렇다면 평가도 마찬가지다. 다양성과 자율성이 필요하다.

  지금 방식대로 모두가 수능 시험을 보고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을 찾는 현실은 녹녹치 않다. 학력 서열을 만들어 인생에 패배자 아닌 패배자만 양성한다. 이는 죽기 살기 식 싸움으로 변질한다.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는 비생산적인 구조이다.



  실제로 이 구조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 최근에는 냉소의 질타가 자주 나오고 있다. 지나친 경쟁 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자 하는 시도도 많이 보인다. 대학에서 학생부 종합 전형 등의 방식이 부각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는 하나의 잣대로 학생을 선발하는 과거의 관행을 거부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의 잠재적 능력을 보려는 시도에서 주목된다.

  며칠 전 교육부의 수행평가 확대 정책도 평가의 방법은 물론 수업 형태를 바꾸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정답을 잘 찾아내는 것을 지양하고, 스스로 깊은 사고의 숲에 들어가는 수업이 가능해진다. 생각하고 발표하면서 나누는 경험이 큰 그릇으로 성장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

  지난 2월 서울의 고등학교 졸업식에서 이사장이 축사를 하면서 명문 대학에 진학한 학생 수가 적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질타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여전히 학교에서 수능이라는 기준에 맞춰 가르치고, 학생들은 점수에 따라 대학과 학과를 정하는 풍토가 만연하다는 증거다. 위 신문 기사 내용을 교실 뒤편에 게시한 담임선생님도 결국은 학급 아이들에게 수능 성적을 강조하고 있다. 수능 점수 몇 점 차이는 실력 차이가 아니라 실수의 결과일 수 있다. 그런데 이 점수 차이로 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에 의해 대학을 선택한다면 우리는 영원히 무모한 경쟁만 하게 된다.

  그동안 우리는 산업 사회에서 양적인 교육에 치중하다 보니 교육의 본래 목적 실현에 가까지 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우리 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배움을 통해 삶에 의미 있는 질문을 하고 성장해 나가는 교육의 모습을 찾아야 한다. 많이 알게 하는 것보다 깊은 사유의 경험을 통해 좋아하게 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