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교육학] 학교의 기능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다음은 학교의 기능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을 대화글로 제시한 것이다. (1) 김 교사의 발전교육론의 기본입장과 한계점을 논하고, (2) 이 교사의 주장을 바탕으로 인간자본론의 기본입장을 설명하고, 문 교사의 주장을 바탕으로 인간자본론의 한계를 비판하는 이론을 설명하시오. (3) 박 교사의 교육에 대한 갈등론의 기본입장과 한계점을 논하고, (4) 최 교사의 저항이론의 기본입장과 사회개혁을 위한 프레이리(Freire)의 교육방법론을 논하시오.【총 20점】

# 김 교사:국가의 예산을 투입하여 지식과 기술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생산적이고 유용하므로 국가 차원에서 교육의 양과 질을 계획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투입되기는 하지만,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합리적 가치를 지향하는 사회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국가적 이익이 창출되는 것이지요.

# 이 교사:그 동안 교육은 쓸모있는 교육이 강조되고 인력수요 추정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인력을 배출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교육이 길러내는 어떤 능력이나 특성이 경제성장을 높여 줄 수 있을 지 알기 어렵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사회, 고도산업사회에서는 특수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사고력, 적응력, 창의력이나, 윤리적, 도덕적 태도가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산업이 발달할수록 인력개념은 인간개념에 접근해 가야 할 것입니다.

# 문 교사:슐츠(T. Schultz)의 인간자본론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첫째, 교육과 소득과의 관계는 생산성의 차이에서가 아니라 고학력자에 대한 고용주의 선호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둘째, 임금결정 메커니즘은 생산성뿐만 아니라 회사 조직의 크기, 산업의 부문, 이중노동 시장 등과 같은 구조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며, 셋째, 교육은 기회평등화 장치이기보다는 대중들이 소수자본가들의 소망대로 행동하도록 사회화시키는 장치라고 보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투자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 박 교사:저는 새로운 관점에서 말씀드립니다. 실제로 학교의 효과는 모든 국민이 아닌 특정 계층에게만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교육의 과정에서 상위계층의 자녀들에게는 다양한 기회가 주어지지만, 하위계층의 자녀들에게 그것은 허상일 뿐입니다. 결국 빈부의 대물림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사회구조상 계층이동 방식이 상위계층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하위계층의 학생들은 상위계층에 진입하기가 힘들며 계층의 대물림이 이어집니다.

# 최 교사: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서 사회 불평등에 대한 모순을 깨닫게 하고, 비판적 의식을 저항의 실천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프레리는 의식화란 자기를 객관화하고 자기를 비인간화시키는 제한상황을 의식하여 이의 변혁을 통해 새로운 세계, 존재를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의식화 과정이 곧 해방의 과정이고, 인간해방이란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해방(解放)의 교육이란 세계의 정체를 밝혀내고 프락시스를 통해 세계의 변혁에 개인 스스로를 투신하고, 압박의 현실이 변혁되면 만인을 위한 영구적 해방을 도모하는 교육입니다.

1. 서론
교육은 국가발전의 원동력이다. 교육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기능을 가르침에 따라 개인의 성장발달은 물론 국가발전을 위한 인적자원을 길러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가발전을 위한 교육이 인간을 수단시하고, 오히려 불평등한 사회계층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교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통찰하여 학교가 학생들의 자아실현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본론
1) 발전교육론 기본입장과 한계점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