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출세하라는 교육은 이제 그만

한국인은 애국심이 강하다. 이는 일본인들이 한국인의 특성을 이야기 할 때 가끔 들먹이는 말이다. 한국 학생들은 진정으로 자기 나라의 발전에 관심이 많다. 이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4.19 혁명이 이를 잘 증거한다. 이후 민주화 운동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앞장 섰다. 목숨까지도 바쳤다. 하지만, 아직도 잘못된 교육시스템이 더 성숙해져야 할 젊은이들의 비판력을 저하시키고 있지는 않는지 모르겠다. 이러한 정신의 바탕이 되는 인문학은 고등학교와 대학의 커리큘럼에서 사라졌고, 많은 젊은이들이 지루함을 참아가며 경영, 경제, 회계학 수업을 듣는 형편이다. 지금처럼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인문학을 홀대하고, 그에 대한 지원을 축소한다면, 결국에 우리는 돈과 권력에 지배당할지도 모른다.


만일 우리 국민이 좋은 정부와 건강한 사회를 갖고 싶다면, 젊은이들이 정치철학, 역사, 문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인문학은 지금과 같은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목이다. 지금의 정치현실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권력을 견제하고, 책임있는 시민들의 지성을 만들며, 독재의 위험을 피할 수 있을지 알고 싶다면, 플라톤과 공자, 베버와 맑스를 읽으라는 어느 식자의 지적은 결코 틀린 것이 결코 아니다. 지금 듣고 있는 경영학 수업은 지금과 같은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는데 아무 도움이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부모세대들, 그러니까 1960년, 1979년, 1987년의 시민항쟁에 참여했던 그 세대들은 지금의 젊은세대보다 공부는 덜 했지만 철학과 윤리학,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더 강했을지도 모른다.


이번 촛불집회 이후에  우리들은 함께 모여 정치개혁과 정부의 본질 등에 대해 진지하게 토론해 본 적이 있는가? 한국의 민주주의가 어디로 가야 하는가? 공무원들이 어떻게 국민을 섬기는 정부를 만들 것인가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토론한 적 있었는가?  만약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반성이 필요하다. 다시 한번 가짜 정치인들에게 속지 않으려면 젊은이들이 정치와 정부, 공공정책의 원리를 제대로 배워야 한다. 


그리고 촛불시민은 위대하다고 부추기는 언론의 감언이설은 신중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매체들은 시간 내내 최순실 사태를 보도함으로써 정작 한국을 위태롭게 하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외교적 도전에 대해 알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18세의 선거권 부여 논쟁도 시간이 갈수록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를 시행해 득을 보는 쪽과 그렇지 못한 쪽의 논쟁은 더욱 격화될 것 뻔하다. 결코 우리 나라 18세의 정치적 역량을 과소평가하려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아직도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많은 사람들의 지적도 신중하게 생각해 볼 중요한 과제라 생각한다. 지금까지 경쟁에서 이겨 더 좋은 권력을 갖고 출세하라는 교육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 이를 부추겼던 교사도 학교도 각성이 필요하다.


정치에서나 경제에서나 스스로 위대하다는 착각, 또는 나만이 이 자리에 있으니 특별한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오만은 필연코 화를 부른다. 위대병 증후군을 가진 권력자들은 국가 경제는 물론, 민주주의의 암적 존재이다. 조금은 부족하고 평범하지만 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올바른 주장을 할 수 있는 깨어있는 청년들을 기르는 것이 자신만의 이득을 위한 위대한 정치인에 기대는 것보다 더 우선되어야 한다. 더 이상 우리는 과도한 경쟁교육에서 벗어나 따스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인간교육으로 방향을 바로 잡아야 할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