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그들에게 한국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탈북민들, 남한에서의 삶 증언

남북 갈등 때마다 면전서 “돌아가라” “반성해라”
“북에서 온 사람” 색안경…“차별 경험 있다” 45%
‘나와 같은 국민’ 인식 갖게 통일교육 강화해야



통일부에 따르면 한국에 온 북한이탈주민(이하 탈북민)이 지난해 3만 명을 넘어섰다. 사회, 학교 곳곳서 정착을 위해 땀 흘리는 이들을 만나는 건 이제 흔한 일이다. 하지만 우리의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 국가인권위가 3월 14일 발표한 탈북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45.4%가 북한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한국통일교육학회 세미나에서 윤보영 동국대 북한학과 시간강사가 탈북민 15명을 심층면접 해 밝힌 남한생활은 동정, 편견, 반감, 냉대로 대변된다. 일상의 순간순간 ‘이웃’이 아닌 ‘북한에서 온 사람’으로 경계 지어지는 그들의 삶을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굶어 죽어요?…동정 부담돼 출신 숨겨

손예원(정착 9년) 씨는 처음 일하게 된 식당에서 겪은 예상치 못한 ‘환대’를 잊지 못한다. 

“경북 안동에 배정받아 일을 하는데 북한아가씨가 있다며 동네 어르신들이 구경하러 오신 거예요. 뿔 달린 줄 알았는데 똑같다는 소리, 정말 그렇게 굶어죽냐는 질문이 이어지죠. 1년, 2년, 열사람, 백사람 반복되니까 지치더라고요. 동물원에 뭐가 된 느낌도 들고…그래서 나중에는 출신을 숨기게 되더라고요.”

계속 봐야 할 사람에게는 북에서 온 사실을 털어놨다. 문제는 그 때부터 상대는 가르치는 사람, 자신은 배워야 할 사람으로 구별되는 경험을 반복해야했다. “그 순간부터 일장연설을 해요. 자본주의에 대해 너네는 하나도 모르니까 우리가 시키는대로 열심히 배우고 성실히 살아야 한다고, 그러면 다 이룰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이라고요.”
 
▶죄인 취급 일쑤…직장 그만두기도

탈북민들은 본의 아니게 죄인이 되기도 한다. 
 
김나정(정착 9년) 씨는 “가장 상처 주는 얘기는 너희가 6‧25를 일으켜 우리 조상을 죽였으니 받아준 것만도 고맙게 생각하고 사죄하면서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거예요”라고 말했다.
 
숙박업소, 식당, 마트에서 일해 온 김영희(정착 7년) 씨도 마트 동료들에게 곤혹을 치렀다. 그는 “천안함, 연평도 포격 등의 일이 일어날 때마다 ‘6‧25 때 친척 4명이 죽었다’ ‘탈북자들 자꾸 받아주면 안 된다’ ‘세금 많이 나가고 일자리 없어진다’는 말을 면전에서 하더라”며 “여기서 살아야 하니까 못 들은 척하고 만다”고 토로했다. 
 
서지영(정착 5년) 씨는 “친한 언니가 5년간 열심히 직장생활을 했는데 동료가 북한 뉴스만 나오면 계속 ‘너희는 왜 그래?’ 묻고 ‘북한으로 돌아가라’는 말을 막 했대요. 자신의 잘못으로 자꾸 연결하는 말에 상처를 입은 언니는 결국 그만 뒀다”고 전했다. 
 
▶“변절자들…전쟁나면 어느 편이냐”
 
빨갱이, 변절자로 불릴 땐 정착의지가 송두리째 흔들린다. 
 
김나정 씨는 “너는 변절자니까 언젠가는 또 변절할 수 있다는 말,0 전쟁 나면 넌 누구한테 총을 들이대겠냐고 묻는 말들이 너무 가혹하다”며 “9년간 정착을 위해 노력한 세월이 허무하고 난 여기 사람으로 여전히 인정받지 못하는구나 서글픈 생각이 든다”고 했다.
 
북한에서 교사였던 백주희(정착 15년) 씨는 북한 실상과 관련된 안보강의를 해왔다. 그러던 중 그는 6‧25때 부모님을 잃은 노인에게 거친 항의를 받았다. 그는 “양구에 갔었는데 ‘저년들도 몰라, 빨갱이 새끼들이 시켜서 하는 말일지 몰라’ 그러더라고요”하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들도 우리와 똑같다…통합교육 절실 
 
‘먼저 온 통일’로 일컫는 탈북민들의 현주소는 통일 후 우리 사회를 미리 보여주는 바로미터다. 탈북민 대상 적응교육만큼 인식 개선과 통합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이 요구되는 이유다.  
 
윤보영 강사는 “탈북민들은 여전히 ‘북한에서 온’ 사람으로 평가되고 그로인해 일상적인 충돌, 흔들림을 겪는다”며 “통일을 이득의 개념으로, 북한을 경계의 대상으로, 탈북민을 동정, 통일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현 교육에 대해 고민할 때”라고 말했다. 
 
차승주 평화나눔연구소 소장은 “통일연구원이 2016년 발표한 남북통합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편견과 차별의식 해소’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며 “함께 살아갈 이웃으로 인식하고 그들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는 자세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