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2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4차 산업혁명시대 왜 인문학인가

심리학에 ‘존 헨리효과’라는 용어가 있다. 특별한 취급을 받지 못한 통제집단의 연구 참여자가 평상시와는 다르게 행동하거나 고의로 실험진단보다 더 좋은 결과가 나타나도록 노력하는 경우 발생하는 효과를 말한다.

 

정신노동까지 맡는 기계 등장
 

소설 존 헨리의 전설(The legend of John Henry)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이렇다. 19세기 미국에 존 헨리라는 철도노동자가 있다. 180㎝의 키와 90㎏의 몸무게의 거구였던 그는 일을 잘하는 노동자로 통했다. 어느 날 그가 일하던 회사에서 터널굴착 작업을 위해 기계를 도입한다. 기계에 밀려 직업을 잃을 위기에 처한 그는 호기롭게 기계와의 결투를 신청한다. 존 헨리는 하루 종일 벌어진 기계와의 터널 굴착 시합에서 혼신의 힘을 쏟아 승리하지만, 곧 숨을 거둔다.
 

인간과 기계의 대결에서 감동적인 승리를 거둔 존 헨리의 안타까운 죽음에도 인간은 기계에게 육체노동을 맡기게 된다. 기계문명에 굴복하지 않은 그의 강한 의지에 감동을 받으면서 무엇인가 씁쓸한 것은 그와 비슷한 상황을 우리가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바로 4차 산업 혁명이다. 알파고의 등장은 기계에게 인간이 육체노동을 맡기게 된 것처럼 이제 인공지능에게 인간이 정신노동을 맡길 날이 멀지 않았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알파고와 경기를 펼친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들은 21세기판 존 헨리인 것이다. 존 헨리는 육체노동이었지만, 이세돌과 커제는 정신노동이었다는 점이 다른 점일 뿐이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가 인간의 육체노동의 많은 부분을 대체했다. 그러자 인간은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의 무엇 즉, 인간성을 찾으려 노력했고, 그 인간성을 학교에서 가르치려고 했다. 그래서 이성, 합리성, 전문가적 직관을 인간이 갖춰야 할 능력으로 보고 학교에서 가르친 것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곧 직관과 창의성에서 인간을 추월할 것이 자명해 보인다. 미래의 학교는 이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간성을 찾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성은 인공지능과 인간을 구별해 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돼야 한다. 철학자 최진석은 가장 인간적인 능력으로 ‘부정하는 능력’을 들었다. ‘부정하는 능력’이란 인공지능이 생각하기에는 비이성적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인간들이 기꺼이 하는 것을 말한다. 비싸더라도 친환경제품을 구매하는 인간의 행위, 수십 년 간 벌어온 돈을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하는 행위, 심지어는 시험 전날에 영화를 즐기는 일 같은 경우들 말이다. 절대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공지능은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의 행위는 인공지능과 인간을 구분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인간적인 인간이 되려는 노력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학문이 바로 인문학이다. 한자 ‘人文’ 에서 도 알 수 있듯이 인문학 자체가 인간의 근원문제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인문학이 우리에게 던지는 가장 기본 질문은 ‘너는 어떤 사람인가?’이다. 이 질문에 고민한 학생은 자신이 누구인지 더 깊게 고민하게 된다. 자신이 누구인지 깊은 고민을 해본 학생은 선택을 내릴 때 합리적 선택만이 아닌 자신만의 가치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더 인간적인 인간이 되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