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21.3℃
  • 맑음강릉 28.1℃
  • 맑음서울 22.4℃
  • 맑음대전 23.9℃
  • 맑음대구 26.7℃
  • 맑음울산 24.4℃
  • 맑음광주 24.7℃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1.3℃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24.0℃
  • 맑음금산 23.3℃
  • 맑음강진군 21.8℃
  • 맑음경주시 25.5℃
  • 맑음거제 20.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가 칼럼] 디지털 리터러시는 생존의 역량

디지털 기술은 우리가 살고 일하며 배우는 방식을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속에서 디지털 역량은 더 이상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역량이 아닌 오늘의 삶을 위한 필수 역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제 사회가 주목하는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길스터(Gilster, 1997)가 처음 사용한 이래 디지털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넘어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고, 윤리적 태도로 타인과 소통·협력하며,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넘나드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 시민성을 포함한 역량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도로 2007년부터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고 연도별로 심층 분석해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는 크게 ICT 요소와 컴퓨팅 사고 요소 영역을 측정한다. 2021년도에는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9062명과 중학생 1만3054명을 검사했다.

 

조사 결과, 우리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는 코로나19 이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평균 점수는 초등학생 17.43점, 중학생 16.66점으로 2019년 초등학생 16.47점, 중학생 14.65점에 비해 올랐다. 성취 수준 분포도 초·중 모두 우수 수준 학생 비율이 늘고, 미흡은 줄었다. 대체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도시 학생이 다른 지역 규모 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디지털 인프라 접근성, 원격수업 비율, 디지털 기기 활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교사의 디지털 기기 활용 효능감 수준도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쳤다.

 

조상 대상 학교 교사 819명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조사한 결과, ‘인프라 지원’(초등 73.6%, 중등 65.9%), ‘관련 교과서⸱교육자료 개발 및 무료 보급’(초등 58.9%, 중등 59.3%),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지원’(초등 54.7%, 중등 62.1%)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적극적·선제적 정책 대응 필요

 

코로나19 장기화로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면서, 디지털 역량의 격차는 단순한 정보 접근성의 격차가 아닌 인식의 격차, 경제·문화적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차는 점차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구조적 기제로 작용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가정의 디지털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교육과정을 재편하며, 교원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 원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학생과 교사의 역량을 고루 끌어올려야 한다. 디지털 기술 활용은 불편함의 문제에서 불이익의 문제, 나아가 생존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공공자산으로서의 디지털 기술과 기본권으로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보다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