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5년 '교육소계' 되풀이 말길

교사들은 5년마다 긴장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권을 잡은 정당의 정치적 이해나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교육정책과 입시제도가 바뀌기 때문이다.
 
교육당국은 정권의 공약을 반영한 정책을 수립해 현장에 알리는 데 오랜 시간을 보낸다. 또 교사는 이를 받아들여 현장에 적용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매번 이런 일을 반복하는  현장 입장에서는 답답하다. 

정권 바뀔 때마다 몸살 앓는 현장

바뀌는 정권마다 현장의 앓는 소리를 듣고 꼭 하는 약속이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이다. 이번에 고치면 앞으로는 절대로 고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게 바로 그것이다. 이런 약속을 5년마다 들었다. 진보정권에서도 그랬고, 보수정권에서도 그랬다. 이번에는 그 주기마저 1년 빨라졌다.
 
일선에서 입시를 지도하는 교사이기 때문에 선거 전부터 유력 3당의 교육 정책을 관심 있게 살펴봤다. 이미 새 정권이 들어섰으니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하지만, 그때 결론은 누가 돼도 현장의 교사들은 새 정권에서 요구하는 교육 방향을 익히는 데 또 오랜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이었다.
 
교육은 국방이나 경제 분야처럼 특정한 방향을 향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수립·추진하기 힘든 게 사실이다. 구조를 바꾸는 국방·경제 등 다른 분야와 달리 교육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바르게 성장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그리고 이 사회에 필요한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방법이 항상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은 인정한다. 시대 상황과 환경 등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화와 수정은 당연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도 동의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큰 틀의 정책 방향은 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현실적으로 입시제도의 변경은 아무리 좋은 방향으로 바꾼다고 해도 바뀌는 것 자체만으로 학생,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에게 스트레스가 된다. 이는 이제 겨우 새집으로 이사해 짐을 다 풀고 익숙해져 안정을 찾은 가족에게 다른 도시에 더 좋은 집을 구해 줄 테니 빨리 짐을 다시 싸서 이사를 가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공염불이 될 수도 있겠지만, 나는 또 다시 한 번 메아리를 기대하며 소리친다. 제발 뿌리가 튼튼한 교육제도, 입시 제도를 만들어 정착시켜 주었으면 한다. 보편성을 중시하는 교육도 장점이 있고, 수월성을 강조하는 것도 장점이 있다고 보는 것이 현장의 일반적 생각이다. 문제는 이를 지나치게 한쪽에 치우쳐 추진하면 정권이 바뀌거나, 심지어 장관이 바뀔 때도 교육정책이 쉽게 오락가락하는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를 반드시 명심하길 바란다.

결국 탈나는 건 학생임을 명심해야 
 
따라서 지난 9년 간 수립·추진된 교육정책을 보수정권에서 만들었다는 이유만으로 급하게 지우려 해서는 안 된다. 그러면 탈이 나는 것은 결국 아이들이라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그리고 교육정책을 수립할 때는 반드시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발휘해주기 바란다. 이를 통해
다른 성향의 정당이 차기 정권을 차지해도 교육정책만큼은 일관성 있게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 5년 후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정책에 대한 볼멘소리가 나오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