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장애가 수업‧업무에 걸림돌 안됐으면”

서울 중증장애교원 ‘생생토크’

연수방법 다양화, 보조인력‧기기 확충 등 지원 필요
개인‧학교 노력 넘어 국가‧교육청 차원의 정책 기대




[한국교육신문 김예람 기자] 지난달 19일 서울시교육청 경희궁홀. 20여 명의 중증 장애교원이 한 자리에 모였다. 장애교사 지원방안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듣기 위해서다. 교사들은 잠시 머뭇거렸지만 곧 편안하게 자신들의 의견을 밝혔다. 가장 먼저 꺼낸 이야기는 애로사항이나 고충보다는 아이들과의 추억, 보람이었다. 
 
김헌용(시각‧1급) 서울 구룡중 교사는 매년 교원평가에서 학생들의 자율서술 문항 첫머리에 쓰여 있었던 ‘시각장애인 선생님임에도 불구하고’란 문구가 최근 전혀 눈에 띄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학생들이 나를 장애인이 아니라 여느 교사들과 다름없이 바라봐 준다는 사실이 참 감동스러웠다”며 “최근에는 학생들이 구청에 민원을 넣어 지하철역에서 학교로 가는 길에 점자블록이 생기는 등 아이들의 성숙한 생각과 행동에 교사로서 스스로를 반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필우(시각‧1급) 서울정민학교 교사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생일마다 기타를 치며 축하노래를 해주는 것이 ‘축하 전담’이라는 일종의 트레이드마크가 됐다. 김 교사는 “중증‧중복 장애학교로 발화가 안 되거나 인지가 낮은 학생이 많아 초임 때는 난감한 적이 많았지만 다른 학급 학생의 생일이더라도 모두 챙겨 음악으로 소통하다보니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교사들의 요구는 장애가 수업‧업무에 장애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내용이었다. 연수 방법을 다양화하고 보조인력, 보조기기를 확충하는 등 장애 유형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문이었다.  
 
편도환(시각‧1급) 서울 수락중 교사는 “장애교원들은 연수에서 어떤 것을 들어야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는가보다 어떤 연수를 들을 수 있는가가 먼저”라며 “웹 접근성이나 음성지원 등 장애교원 연수에 대한 지침이나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배성규(청각‧2급) 서울정인학교 교사도 “교직경력 15년 간 수화나 자막통역을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며 “집합이나 원격연수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연수를 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배 교사는 또 1‧2급 중증장애교원 전보 우대와 관련해 “청각장애는 타 장애와는 달리 2등급이 최고 등급이어서 차별을 받는 경우가 있다”며 “이밖에도 여전히 많은 장애교원들이 담임업무에서 배제되거나 근평, 성과급에서 최하점을 받는 등 차별을 받고 있어 이에 대한 인식개선, 정책 보완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교육청 차원의 장애교원 지원 전담인력 배치에 대한 요구도 나왔다. 편도환 교사는 “현재는 보조인력, 보조기기, 연수 등 필요한 것을 요구해도 교육청 안에서 조차도 부서가 나뉘어 있기 때문에 통합관리가 어렵다”면서 “개인이나 단위학교의 노력만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부분들을 교육청이나 국가 차원에서 챙기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서울시내 장애 교원 570여 명 중 보조인력을 지원받는 인원은 18명 뿐”이라며 “필요 여부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충분한 예산도 확보됐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장애 유형과 정도에 맞는 지원도 당부했다. 박춘봉(시각‧1급) 서울정진학교 교사는 저시력 시각장애로 수업과 활동은 지장이 없지만 컴퓨터 업무 시 클릭 등 사소한 도움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홍상희(뇌병변‧1급) 서울 영원중 교사도 칼질이나 가위질같이 정교한 작업이나 무거운 짐을 들 때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이들은 “동료 교원들에게 도움 받고 있지만 본인도 바쁜 상황이라 미안함이 크다”며 “공익근무요원이나 실무사를 통해 간단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장애정도에 맞는 다양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끝으로 김헌용 교사는 “새해에는 개인이나 학교의 노력을 넘어 교육청이나 국가 차원에서 장애 교원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본격적인 정책을 펼친다면 훨씬 더 장애친화적인 학교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장애교원들도 학교 다양성에 도움이 되는 새롭고 풍부한 교육현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예람 기자 yrkim@kfta.or.kr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