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9 (화)

  • 구름많음동두천 10.1℃
  • 구름조금강릉 10.4℃
  • 연무서울 9.8℃
  • 구름많음대전 11.7℃
  • 구름많음대구 14.4℃
  • 흐림울산 14.8℃
  • 흐림광주 10.9℃
  • 구름조금부산 14.7℃
  • 구름조금고창 10.8℃
  • 맑음제주 15.4℃
  • 맑음강화 8.9℃
  • 구름많음보은 10.4℃
  • 구름많음금산 10.0℃
  • 구름많음강진군 12.5℃
  • 흐림경주시 14.7℃
  • 구름조금거제 14.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교경영

[초등 통합]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 생각망 네트워크’ ❶

(4T : Thinking gather, Thinking focus, Thinking share, Thinking expand)

아이들은 같은 지역에 살아도 동네에 따라, 학급형태에 따라 학교 간 지역 차가 발생한다. 자동차로 20분 이내 거리에 살아도, 또 다른 교육 상황에 놓인 아이들…. ‘어느 학교를 다녀서 좋다’보다는 ‘선생님의 수업을 들어서 좋다’는 공동의 교육과정·수업·평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학교’를 떠나 오로지 수업을 이야기하고, 아이들의 ‘삶과 앎’을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선후배 교사들의 관계망이 절실했다. 그러던 중 인근 4개 초등학교, 2년 차에서 16년 차 교사들이 의기투합하여 ‘4개 학교 학생들이 지역 차, 학년 차를 극복할 수 있는 수업망’을 개발·적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번 호에서는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 생각망 네트워크’의 교육목표와 설계 모형을 설명하고, 다음 호에서는 수업에 실제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생각을 채우면서 수업이 변했다
수업은 늘 비슷한 패턴으로 이뤄진다. 아이들이 교과서를 펼쳤는지 확인하고 수업에 들어간다. 교과서 순서대로 수업하다가, 아이들이 잘 이해하고 있는지, 아이마다 피드백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 어제 배운 교과서를 한번 훑어보면서 질문을 한다. 매번 발표하는 아이만 발표를 하고, 다른 친구들은 발표에 반응도 없고, 친구의 말을 기억하지도 못한다. 평가도 마찬가지이다. 아이들은 몇 개 틀렸는지 서로 물어보며 기쁨과 실망감이 교차한다. 아이들은 나보다 잘한 친구를 부러워한다.


수업공동체에서는 가장 먼저 ‘우리의 수업에서 과연 배움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진단했다. 그리고 ‘아이가 이해하는지’ 아이마다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생각을 가진 아이마다 성장을 살피는 따뜻한 교실을 만들어 보기로 생각을 모았다.

 

▶ 연구의 목적
수업공동체는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생각망 네트워크를 통한 의사소통역량을 기르기’를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정했다.
①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생각망 네트워크 여건 마련하기
②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생각망 네트워크 수업 실행하기
③ 수업밀착형 평가중심 4T-생각망 네트워크 함께 배우며 성장하기


▶ 교사공동체 운영을 위한 진단
함께 수업공동체를 만들고, 고민하며, 채워나간 4개 학교 교사들의 ‘키워드’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매일 매일 반복되는 하루 속에서 의미 있게 보낼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둘째, 다양한 연수는 이뤄지는데 왜 적용은 항상 어려울까? 셋째, 수업이야기를 함께 공유할 방법은 없을까?


또한 수업공동체 교사들은 ‘과연 4개 학교 간 교사들끼리 운영이 잘 이뤄질지’, ‘2년 차에서 16년 차 교사 간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뤄질지’, ‘과연 우리 끼리 생각기반 토의·토론 수업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지’, ‘성취동기가 다른 학교 아이들에게 공동의 수업지도안을 제대로 적용할 수 있을지(<표 1> 참조)’의심을 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의심은 함께 고민하는 과정에서 의외로 쉽게 해소됐다. 신규교사의 학생 생활지도와 상담에서의 어려움은 고경력 교사의 노하우로 풀어낼 수 있었고, 모든 초등교과에 적용 가능한 주제책을 선정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4개 학교의 지역 차·학년 차를 극복할 수 있는 ‘4T-생각망 네트워크’ 수업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다. 또한 매주 목요일 5시 30분~7시 30분까지 관동초등학교에 모여 주제책 적용사례를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재디자인’하는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수업공동체를 발전시켜 나갔다. 그 결과 수업공동체는 선후배 교사가 서로 따뜻한 조언을 주고받는 ‘가족’ 같은 존재가 됐고, 매일매일 익숙해져서 초심을 잃고 약간은 시들시들해지던 교직생활을 다시 불탈 수 있도록 해주는 ‘성냥’이 됐다. 또한 무료한 일상의 탈출구로 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즐겁게 키워 나갈 수 있는 디딤돌이자 힐링의 시간이었으며,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라는 거대한 안개 속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아이들과 교사의 성장을 위한 것인지 뚜렷이 알게 됐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