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봄과 첫사랑

‘똑! 똑! 똑! 문 좀 열어 주세요.’ 아직 겨울의 흔적이 수묵담채화처럼 남은 산과 들에 봄이 소곤거리고 햇볕 좋은 날 군청색 바다엔 옥색이 내려앉는다.

삼월은 참 바쁘고 아픈 달이다. 신학기 시작과 더불어 입학식, 오리엔테이션 등으로 겨울의 웅크림 속에서 새로운 노트를 펼치고 소중한 내용을 계획하고 빈칸을 채워가기 시작하는 달이다.
삼월, 봄, 첫사랑! 내 눈을 통해 분산되는 삼월의 프리즘은 현란하기 그지없다. 회색빛 언덕배기에 푸른 기운이 돌고 윤기가 자르르한 동백 잎 속에 피어나는 붉고 노란 꽃술의 향연이 현기증을 일으키게 한다. 그 어지러움 속에 문득 열 서너 살 삼월 첫 수업시간 새로운 교과목 선생님을 만날 때마다 ‘공부 말고요 첫사랑 이야기를 해 주세요’기억의 제창이 떠오른다. 대게 국어 선생님은 이야기를 잘 해주시지만 수학, 과학 선생님은 면박을 주며 교과 진도 나가기 바쁘다.

첫사랑! 얼마나 가슴 두근거리는 경험인가? 그 사랑은 영원히 나이를 먹지 않는다. 거기에는 인생에서 가장 어여쁜 한 소년과 소녀가 그대로 담겨 있다. 우리 인생의 봄날 성능 좋은 카메라에 그대로 살아 숨 쉬며 어떤 지우개로도 하드 포맷으로도 지울 수 없는 오직 나만의 경험이다.
첫사랑 하면 떠오른 이야기가 바로 황순원의 ‘소나기’이다. 이 소설은 1959년부터 지금까지 국어교과서에 실려 있다. 또한, 20~50대 한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국어 교과서의 글 중에서 가장 감동한 글로 오랫동안 절대적 지지를 받아온 소설이다.

시골에서 숫기 없는 소년과 서울에서 내려온 분홍스웨터의 목덜미가 하얀 소녀와의 만남이 첫사랑이다. 소년의 소녀에 대한 사랑은 대단했다. 가을 들판의 새 보는 일, 소먹이는 일도 시시해 지고 아버지의 꾸중도 무섭지 않게 된다. 숫기 없는 소년은 용감한 흑기사가 되어 송아지 등에도 올라타고 절벽에 핀 꽃도 꺾어오고, 비를 맞아 오돌오돌 떨고 있는 소녀에게 저고리를 덮어주고 개울물도 업고 건넌다. 이렇게 사랑은 큰 힘을 발휘한다. 하지만 자신은 그것이 사랑인지를 잘 모른다. 사랑하게 되면 그 사람만 보이고 다른 것은 모두 배경으로 물러난다는 말처럼 소년에게는 소녀만 보인다.

사랑이란 두 사람의 비밀 만들기이다. 아무에게도 공개할 수 없는 이 비밀은 소녀의 유언에 들어가 버린다. ‘자기가 죽거든 자기 입은 옷을 꼭 그대로 입혀서 묻어달라고…….’

이 소설은 읽는 이는 이 부분에서 소년처럼 와락 눈물을 흘리게 되고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의 아쉬운 여운으로 나머지 가지 않은 한 길에 대한 미련을 작가에게 던지게 된다. 소나기의 사랑은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가지고 있었으나 어른의 나라로 들어 올때 잃어버린 주머니에 넣어둔 순수의 조각 하나이다.

첫사랑은 모든 사랑의 원형이 된다. 첫사랑의 연인은 영원히 나이를 먹지 않는다. 라일락 향기를 닮은 떨림을 동반한 목소리같이 느낌이 발전해 생각이 되고 생각이 발전하면 철학이 되는 사유의 종소리로 남는다. 이런 첫사랑은 해마다 맞이하는 봄 앓이 같다. 하지만 봄은 해마다 맞이할 수 있지만, 첫사랑은 단 한 번으로 끝나 버린다. 그래서 새로 찾아오는 봄이 더 얄밉기도 하다.

문학반 아이들 지도할 때다. 너희가 만약 작가라면 이 이야기의 끝을 어떻게 바꾸고 싶니? 그러면 대개 소녀가 죽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한다. 슬픈 결말보다는 행복하고 기쁜 결말을 원하고 있다. 하지만 좀 더 고개를 돌려 현실의 교실로 돌아가면 첫사랑은 어떠할까? 수업하면서 첫사랑은 밥 먹여 주지 않는다. 소나기라는 작품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난도질을 한다. 작품분석이랍시고 사건, 구성, 배경, 등장인물의 성격, 작가가 누군지를 달달 외우며 정답을 찾게 한다. 이게 무슨 문학 수업이라 할 수 있을까? 문학은 삶에 뿌려지는 향유이며 감성을 살아 숨 쉬게 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상실하면 생명도 끝나는 것이다. 즉 문학은 은유 속에 만개한 꽃처럼 슬며시 찾아온 첫사랑 봄소식같이 우리 삶에 스며들어 흘러가는 것이다.

삼월이지만 아직 바람 끝은 차다. 해마다 맞이하는 봄의 울렁거림이 올해도 내 마음을 훔쳐가기 시작한다. “사랑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이다”라고 헤르만 헤세는 말했다. 따스한 봄 양지바른 언덕에 나물을 캐는 할머니의 모습에 시선이 멈춘다. 저 할머니의 헤어진 삶의 노트에는 다시 읽어도 부끄럽지 않을 별과 같은 사랑의 내용이 숨 쉬고 있을 듯하다.

사랑은 두 사람이 같은 곳을 보면서 한 사람의 말을 귀담아들어 주는 것이다. 오늘도 누군가 숨겨놓은 삼월의 봄과 사랑 늪에 발을 헛디딘다. 그 허우적거림의 멈춤 속에 가장 멀리 떠나온 때가 떠가기 전 가장 가까울 때라고 봄바람은 휘파람을 불며 지나가고 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