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22.6℃
  • 맑음강릉 27.0℃
  • 맑음서울 21.9℃
  • 맑음대전 22.4℃
  • 맑음대구 23.3℃
  • 맑음울산 23.6℃
  • 맑음광주 21.7℃
  • 맑음부산 25.0℃
  • 맑음고창 21.7℃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20.3℃
  • 맑음보은 20.6℃
  • 맑음금산 22.3℃
  • 맑음강진군 24.0℃
  • 맑음경주시 24.6℃
  • 맑음거제 22.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중등_영어_공개수업, 배움의 효과적 도구로 거듭나기

누군가 ‘나의 수업을 관찰하고 있다’면? 긴장되고, 불안하고, 부담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수업을 많이 개방하는 만큼 확실히 성장하고 발전함을 느낀다. 수업 관찰에서 ‘상대에 대한 평가’를 빼내면 어떨까? ‘수업이 우수한지, 미흡한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따뜻한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면 ‘배움의 효과적인 도구’가 되지 않을까?





다음 그림의 중심개념이 무엇일까? 이 단어를 연상하면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의미들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준비를 많이 해야 하는 힘든 일이고, 지켜보는 많은 눈들과 때론 교장선생님이 떠오르기도 하고, 토론과 연구, 비판이 있다. 보여주기식 쇼타임인 것 같고, 부담스러우며, 긴장과 불안·공포를 수반한다.

위의 단어들은 영어교사 연수에서 ‘classroom observation(교실 관찰)’을 제시하였을 때 나온 교사들의 대답이다. 맞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모두 공개수업을 두려워한다. ‘과도하게 많이 준비해서 남에게 무언가 이상적인 수업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부담’, ‘나를 비판하고 평가할 타인들의 시선’…. 이제 이런 수업 관찰의 시선을 한 번 바꾸어보자.

수업 관찰 다르게 보기
수업은 일상이며 동시에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 교사의 주된 업무는 수업이지만 그 어느 누구도 완벽한 수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업은 많이 보는 만큼 깊어지고 넓어지며, 많이 보여주는 만큼 성장하고 발전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의 수업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하고 내 수업을 보여주는 일이 두렵지 않아야 한다. 수업 관찰에서 상대에 대한 평가를 빼낸다면 상호 동료 간 신뢰와 애정을 바탕으로 한 수업공유가 가능해지지 않을까? “제 일상 수업을 공개하는 것이 약점을 보이는 것 같아 부끄럽지만 두렵지는 않아요. 제 수업을 보러 오시는 선생님들이 저를 비판하러 오시는 게 아니라 저를 도와주시러 오신다는 믿음이 있으니까요”라는 우리 학교 교사의 말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바람직한 수업 관찰은 어때야 할까? 바람직한 수업 관찰은 객관적으로 교실 상황을 기록하고, 데이터를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결코 ‘우수한지, 미흡한지’를 평가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공개수업을 참관하는 교사는 ‘수업에 대해 판단 및 평가’를 내리기에 앞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판단내릴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을 진행한 교사는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각과 인식을 얻고, 수업을 다르게 바라보는 계기를 얻음으로써 교수방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참관록으로는 어느 누구든 평가자의 자세로 수업을 볼 수밖에 없게 한다. 우수한지 미흡한지를 평가해야하기 때문이다. ‘1, 2, 3, 4, 5’의 점수로 기록하는 학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니 수업하는 사람은 참관자들의 시선이 달가울 리 없다. 따라서 배움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수업 관찰이 이루어지려면 가장 먼저 수업 참관록의 양식이 바뀌
어야 한다.

수업 관찰 가이드라인
더불어 수업자와 관찰자 모두에게 가장 효과적인 수업 관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은밀해야 한다. 수업 참관자는 수업 관찰 내용을 외부에 공개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신뢰가 있을 때, 수업자는 있는 그대로 자신의 수업을 드러낼 수 있고, 진정한 의미의 관찰과 성찰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하고, 기술하고, 비평해야 한다. 관찰자는 자신의 선입견이나 편견, 자신의 평가와 판단을 개입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 즉, 교사의 말과 행동, 학생의 말과 행동,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최대한 자세하게 기록하되, 의미 있는 것을 중심으로 한 자료수집이 되도록 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