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이 오면 소풍이나 수학여행 등 학교 야외활동이 늘기 마련이다. 야외활동 중에는 진드기 유충이나 들쥐에 의해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에 걸리기 쉽다.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이 질병은 가을철 3대 질환으로 야외활동을 앞둔 교사라면 학생의 건강을 위해 원인과 대처법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가을철 발열성 3대 질환

쯔쯔가무시병
진드기 유충에 물렸을 경우 발생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쯔쯔가무시병의 발병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감염되면 진드기 물린 부위엔 1cm 정도의 가피(부스럼 딱지)가 나타나고, 3~5일 만에 팔, 다리에 발진이 퍼지게 된다. 이런 환자의 경우 대개 9~11월 사이에 성묘, 밤 줍기, 밭일 등의 야외 활동을 1~2주 전에 한 병력이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폐렴, 위궤양, 뇌수막염, 신부전, 패혈성 쇼크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 치료받아야 한다.

■예방법 : 쯔쯔가무시병은 주로 농촌에 거주하며 밭일을 하는 사람에게서 발병하는 질병이었지만 최근에는 야외 활동 중에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쯔쯔가무시병이 유행하는 9~11월에 야외활동을 계획하고 있다면 되도록 긴 소매의 옷을 입고 귀가 후에는 옷을 세탁해 진드기를 없애야 한다. 밖으로 노출된 피부에는 진드기 기피제를 발라 물리지 않도록 하고, 풀밭에 앉을 때는 돗자리를 펴고 앉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 써야 한다.

렙토스피라증
인수공통전염병, 오염된 물 주의해야

렙토스피라증은 사람과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설치류(쥐), 개, 가축들에서 사람에게 전파된다. 감염된 쥐의 소변으로 전파되며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토양, 식물이 피부에 생긴 상처나 점막에 접촉하면 감염된다. 7~1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치며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등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폐출혈로 사망하는 예도 있다.

■예방법 : 렙토스피라증은 가을이나 홍수, 태풍 후 논에서 일한 사람들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연중 감염사례가 있으므로 안심해선 안 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사전에 학생에게 감염 경로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 또 오염 가능성이 있는 개천이나 강물에서 수영해선 안 되며 논이나 고인 물에 들어갈 때는 고무장갑과 장화를 착용해야 한다.

신증후군출혈열
들쥐가 원인, 늦봄 늦가을이 위험 시기
유행성출혈열이라고도 하는 신증후군출혈열은 매년 수백 명의 환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사망률이 7%나 돼 ‘제3군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됐다.

일 년 내내 발생하지만 들쥐의 활동이 활발하고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감염이 잦다. 이는 감염경로가 들쥐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들쥐의 대소변이나 침이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오면 2~3주의 잠복기를 거친 뒤 구토,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병의 경과는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소변량 감소 시기), 이뇨기, 회복기 5단계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인다.

■예방법 : 최상의 예방법은 신증후군출혈열이 유행하는 지역에 가지 않는 것이다. 만약 야외활동을 해야 한다면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가능한 한 피부 노출을 적게 하는 복장을 하는 것이 좋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앞서 설명한 질병과는 달리 예방접종이 있다.
시마다 다르지만 농촌 및 야외활동이 많은 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접종해 주는 곳도 있으니 농민, 군인, 야외활동이 잦은 사람 등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가까운 보건소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