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AC(Before COVID19, After COVID19)” 세계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는 신조어다. 정말로 그렇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당연하게 여겨졌던 일상의 풍경들이 몽땅 뒤바뀌고 말았으니까. 공연계는 이 잔인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업계 중 하나다. 많은 연극과 뮤지컬이 공연을 중단한 것은 물론이고, 봄이면 올림픽공원과 난지공원, 자라섬 등에서 한주가 멀다 하고 열리던 음악 페스티벌도 모두 취소되거나 기약 없이 연기됐다. 그러는 와중에 평창대관령음악제가 정상적으로 개최된다는 발표는 그야말로 가뭄에 단비와 같이 느껴지는 반가운 소식. 그동안 라이브 음악의 생생함, 공연장의 공기에 목말랐던 이라면 이번 여름에는 평창으로 떠나보는 것이 어떨까. THEME1. 베토벤 탄생 250주년 2020년은 거장 베토벤이 탄생한 지 250주년이 되는 기념적인 해다. 이를 성대하게 축하하기 위해 그의 무대였던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물론이고 전세계가 지난해부터 기념 공연을 준비 중이었으나 코로나19로 대부분 공연이 취소되고 말았다. 그 아쉬움을 평창대관령음악제에서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17회를 맞는 음악제의
뮤지컬 썸씽로튼 ‘인류 최초의 뮤지컬이 탄생하는 순간은 어땠을까?’ ‘셰익스피어 시절이 뮤지컬 황금기였다면?’ 같은 재기발랄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탄생한 뮤지컬 썸씽로튼이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라이선스 공연을 올린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거침없이 인용하고, 위키드 레미제라블 등 뮤지컬 명작들의 장면을 패러디함으로써 유쾌한 웃음을 선사한다. 8.7-10.18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展 퍼핏 애니메이션의 거장 스티븐 퀘이·티모시 퀘이 형제의 애니메이션, 도미토리움, 확대경, 일러스트레이션, 초기 드로잉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 100여 점을 망라하는 전시. 그로테스크하고 초현실적인 특유의 세계관에 심오한 철학적 사유를 담아낸 퍼펫과 세트를 만나볼 수 있다. 6.27-10.4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연극 라스트 세션 영국이 독일과의 전면전을 선포하며 제2차 세계대전에 돌입했던 1939년. 무신론의 시금석으로 불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박사와 대표적인 기독교 변증가 C.S. 루이스가 치열한 논증을 벌인다. 라스트 세션은 실제 역사 속에서는 만난 적 없는 두 학자의 만남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신과 종교, 삶과 철학의 문제를
인생은 짧고 예술은 영원하다고 했던가. 몇백 년 전에 탄생한 음악과 시가 여전히 생동하며 2020년 우리의 가슴에 울림을 선사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는 과장된 말이 아닌 듯 싶다. 이렇듯 세기를 뛰어넘는 생명력을 가진 작품을 탄생시킨 예술가들은 삶의 궤적 또한 자신의 작품만큼이나 비범했다. 이번 달에는 두 명의 천재 예술가들의 인생에서 드라마틱한 순간을 포착한 작품들이 무대 위에 오른다. 뮤지컬 난설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누나. 조선 중기의 천재 시인 허난설헌은 자신의 작품보다 남동생의 이름으로 소개되곤 했다. 뮤지컬 난설은 그의 삶과 시(詩)에 오롯이 집중한 창작뮤지컬이다. 주인공인 허초희는 여성의 사회 활동이 사실상 금지되다시피한 조선시대에 스스로 ‘난설헌(蘭雪軒)’이라는 호를 짓고 작품활동을 이어간 인물. 그의 시는 당시 명나라의 사신 주지번에게 “난설헌의 시는 속된 세상 바깥에 있는 것 같다. 그의 시는 모두 주옥 같다”는 극찬을 받았으며, 일본에까지 이름이 알려질 정도였다. 작품은 동생인 허균과 스승인 이달, 두 지음(知音)의 대립되는 관점에서 당대 시대상과 난설의 시 세계를 들여다 본다. 난설을 애정으로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두 인물의
뮤지컬 미아 파밀리아 1930년대 뉴욕의 바 ‘아폴로니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극중극 뮤지컬. 폐업을 앞둔 바에서 마지막 공연을 준비하는 두 명의 보드빌 배우 앞에 마피아가 나타나고, 세 명은 뜻밖의 공연을 펼쳐낸다. 작품의 제목인 미아 파밀리아는 이탈리아어로 ‘나의 가족’이라는 뜻이다. 6.9-8.23 | YES24스테이지 2관 판소리 이방인의 노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단편소설 대통령 각하, 즐거운 여행을!이 판소리와 만난다. 작품은 제네바를 찾은 전직 대통령이 허드렛일로 근근이 살아가는 한 부부와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소리꾼 이자람이 대본을 쓰고 작창과 소리를 모두 맡았다. 6.24-7.5 | 더줌아트센터 전시 이 공간, 그 장소: 헤테로토피아 구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알레산드로 미켈레의 사회에 대한 사유를 기반으로 기획된 전시. ‘다른 공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개인이 타인 혹은 주변 환경과 관계를 맺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 수 있는 장소를 탐색해본다. ‘다름’이 통용되는, 유토피아적인 장소로서 대안 공간은 어디일까. 7.12 | 대림미술관 연극 라스트 세션 역사에서는 만난 적 없
학생들 없는 교실에서의 수업, 관객이 없는 극장에서의 공연. 불과 몇 개월 전이라면 고약한 농담이라고 웃고 넘겼을 풍경들이 어느덧 오랜 일상처럼 익숙해진 요즘이다. 이처럼 코로나19는 우리의 삶을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바꾸어 놓았다. 더불어 ‘ACBC(After Covid19 Before Covid19’, ‘뉴노멀(New normal·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과 같은 단어들이 암시하듯, 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어쩌면 새로운 평균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분석들이 힘을 얻고 있다. 그래서 이번 호는 뉴노멀 시대에 어울리는 문화생활을 즐기는 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혹시, 인류가 중대한 위기를 맞이한 이 시기에 예술은 너무 한가한 소리 아니냐는 의문을 가진 분들이 계신가. 그렇다면 독일의 모니카 그뤼터스 문화부 장관이 문화예술 분야에 500억 유로(67조원) 규모의 긴급 지원 계획을 발표하며 남긴 성명의 일부로 답을 대신하고 싶다.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우리의 민주적 사회는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언론 풍경을 필요로 한다. 창조적인 사람들의 창조적인 용기가 우리로하여금 이 위기를 극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우리는 미래를 위해 좋은 것
연극 그라운디드 2013년 초연 이후 전 세계 19개국, 12개 언어, 140개 이상의 프로덕션에서 공연된 미국 극작가 조지 브랜트(George Brant)의 대표작인 모노극. 에이스급 전투기 조종사가 예상치 못한 임신으로 라스베이거스의 크리치 공군기지에서 군용 무인정찰기(드론)를 조종하는 임무를 맡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건강상의 문제로 한동안 무대에서 볼 수 없었던 배우 차지연의 복귀작으로 기대를 모은다. 5.14-24 |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전시 행복이 나를 찾는다 전시는 스위스 현대미술가인 페터 피슐리와 다비드 바이스(Peter Fischli David Weiss)의 ‘행복은 나를 찾을 것인가?’ 라는 책에서 인용한 주제로 진행된다. 다원예술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전시는 시각예술가와 서울시무용단,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 서울시극단이 협업을 통해 갤러리를 단지 작품이 걸린 정적인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퍼포먼스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4.24-5.9 | 세종문화회관 세종미술관 연극 렁스 렁스는 매사에 진지하고, 사려 깊게 고민하고, 좋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한 커플의 대화로 이어지는 2인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