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이나 평등을 가르쳐야 마땅한 교육기관이 인권위원회나 평등주의자들이 요구하는 것들 때문에 그런 것들을 가르치는데 오히려 곤경에 처해질 때가 있다. 인권이나 평등의 실질적인 확보차원이 아닌 형식적이고 보이기 위한 결정들이 정작 교육을 가로막는 것이다. 금년 학기초 새로운 아이들의 출석부를 작성하는데 정말 황당한 지시가 있었다. 남녀불문하고 가나다 순으로 출석부를 작성하라는 것이었다. 그 방법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남녀로 나누어 생년월일 순으로 정하여 남학생은 1번부터 여학생은 41번부터 정하는 것이 지난해까지의 관례였다. 어떤 여학생이 왜 남학생은 1번부터고 여학생은 41번부터냐고 항의를 하는 바람에 작년에는 남여로 나누어 가나다 순으로 하더니 금년에는 아예 뒤섞어 가나다 순으로 정하라는 것이다. 이것이 남녀 평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는 모르지만 학교에서는 남여로 나누는 것이 좋을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거주지 통반 남녀통계, 평가의 남녀 평균치, 사물함이나 신발장 배치 등등.. 이런 것들이 지금처럼 뒤섞어 놓았다고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합리적인 것은 틀림없다. 꼭 남학생이 1번이어야 할 이유도 없고 출석번호가 그 사람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도 아
또 새 학년이 시작되면서 아이들을 눈에 익히려고 애쓰는 선생님들을 본다. 아이들의 이름이나 특성을 좀 더 빨리 익혀 뭔가 해주고 싶어서 이름표를 달게 하는 선생님, 개인 상담을 시작하는 선생님 등등.. 하지만 아이들 모두를 잘 알기에는 시간이 약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때쯤이면 꼭 곤혹스러운 과제가 등장한다. 무료급식이 필요한 아동을 파악해 신청하라는 것이다. 끼니를 거르는 아이를 찾아 굶지 않게 해야 하는 것이 선생이 할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도 해마다 하는 이 일이 항상 짐스럽고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첫째로 지금 같은 학교 형편으로는 교사가 급식을 지원해야 할 형편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가정방문이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혹 그를 위해 가정방문을 하더라도 한 두차례의 방문으로 판별한다는 것이 무리이다. 둘째, 아이의 자존심 문제이다. 어린아이들에게는 단순한 고마움으로 끝날 수도 있겠지만 약간의 지각이 든 아이들은 자신이 무상급식을 받는 다는 것이 친구들에게 부끄러움이 되고 또한 친구들도 항상 측은한 눈으로 보게된다. 그것을 아이들에게 노출시키지 말라는 지시가 항상 따르지만 그것은 업무추진 과정에 조금씩 알려질 수밖에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