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생활 22년째 되던 해에야 내가 선생님이란 걸 깨달았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1학년 담임을 맡은 때였다. 이천의 작은 시골학교에서 교무일을 보다 보니 월요일 아침은 매우 바쁜 시간이었다. 그래서 토요일이면 으레 단골로 내어주는 숙제 하나가 있었으니 그것은 일요일에 있었던 일들 중에서 가장 기억나는 일을 그림으로 그려 오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날도 각자 그려온 그림을 친구들 앞에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학생 수가 적어서 한 사람씩 나와 설명을 하도록 했다. 선생님은 가만히 앉아 있지만 점수를 매기고 있다는 말과 함께 자세히 설명을 하는 사람, 즉 말을 얼마나 길게 하느냐가 점수를 좌우한다고 규칙을 정했다. 그것은 바쁜 월요일 업무를 처리할 한 시간을 확보하는 방편(?)이었기 때문이었다. 한 아이씩 나와서 그림을 보이며 설명하고 손뼉 치는 소리가 들리면 ‘끝났구나’ 하던 그때였다. 누군가에게 아이들이 손뼉은커녕 오히려 야유를 보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던 업무를 멈추고 누군가하고 보았더니 반장이 아닌가. 여학생이었는데 공부도 제일 잘 했지만 매사 야무지고 특히 그림은 누구도 따를 자가 없었기에 의아해서 말했다. “기원(가명)아! 선생님이 잘 듣
직역하면 ‘먼저 외(隗)부터 시작하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나(너)부터, 또는 말한 사람(제안자)부터 시작하고 실천에 옮기라’는 말이다. 지난 5월 스승의 날 기념식에서는 실로 역사적인 사건(?) 하나가 있었으니 34년 만에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일이었다. 사실 얘기하자면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더 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고 교육자들의 자존감을 드높인 상징적인 계기가 되었음은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겠다. 더욱이 축사 말미에, “아무리 시대가 변화해도 스승의 역할은 바뀔 수 없다. 스승에 대한 예의와 존경심을 잃는다면 그 피해는 우리 사회에 고스란히 돌아오게 된다” 고 전제한 뒤 “정부는 선생님들이 존경받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고 자긍심을 가지고 교육개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가름했다. 짧은 내용이지만 교육자 모두는 이제 앞으로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변모할지, 교육입국의 의지와 존경받는 분위기가 현실로 나타나게 될 것인지 벌써부터 기대가 부푼다. 그래서인지 지금까지 현 정부에 대한 서운한 감정도 다소 가라앉히는 효과는 분명 있었으리라 본다. 그럼에도 마음 한 구석에서 자꾸 의구심이 드는 것은 나 혼
개인이나 사회집단 나아가 국가정책을 수립‧시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잘못됐음을 비유하는 뜻으로 회자(膾炙)돼온 고사성어 중 하나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진(晉)나라 문공(文公)은 초(楚)나라와 일대 격전에서 승리할 방법이 없어 속임수를 써야한다는 호언(狐偃)의 계략을 옹계(雍季)에게 전해주며 그의 생각을 묻자, “갈택이어(竭澤而漁)” 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어 고기를 잡으면, “언불획득(焉不獲得)” 어찌 잡지 못하겠습니까. “이명년무어(而明年無漁)” 그러면 다음해에 잡을 물고기가 없을 것입니다. “분수이전(焚藪而田)” 산에 있는 나무를 불태워 짐승을 잡으면, “언불획득(焉不獲得)” 어찌 잡지 못하겠습니까. “이명년무수(而明年無獸)” 그러면 다음해에 잡을 짐승이 없을 것입니다. 지금 잠시의 속임수로 위기를 모면한다고 해도 그것은 완전한 해결책이 아닌 임시방편일 뿐임을 말하고자 했음이다. 전쟁이 끝나고 진문공(晉文公)은 “옹계(雍季)의 말은 백세의 이익이고 호언(狐偃)의 말은 일시적인 방책”이라면서 옹계(雍季)를 호언(狐偃)보다 더 앞쪽에 앉혔다 한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교육 분야에서 혹 갈택이어의 정책은 없었을까? 정권을 잡아야한다는 일념만으로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거나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면 으레 무슨 대책이라는 것이 나온다. 국민의 살림을 위한 ‘서민경제 살리기 대책’, 집 문제가 불거지면서 나온 ‘주거대책’, 뿐만 아니라 노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고령화대책’은 물론 재난과 재해 근절을 위한 ‘재해대책’ 등이 대표적이다. 국가나 국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을 궁리하고 실행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필요에 의해서 이런 대책들이 나왔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최근 서울시교육청에서 해괴망측한 대책 하나를 요란 벅적 내 놓았는데 바로 ‘촌지대책’이다. ‘단돈 1원만 받아도 징계가 가능하고 이를 제보한 사람에게는 최대 1억 원까지 포상한다’는 내용의 촌지대책은 견문발검(見蚊拔劍)의 극치를 보여준다. 먼저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학교에서는 촌지를 받지 않겠다고 그렇게 떠들어대더니 다 거짓이라고 단정해버릴 것이 확실하다. 또 얼마나 많은 액수를 받으면 최대한이라고는 하지만 1억 원까지 포상금을 준다는 말이냐고 할 것이기에 학부모·일반 국민에게 촌지는 앞으로도 근절할 수 없겠다는 각인을 심어준 결과가 되고야 말았다. 우리 교육자들의 심정은 어떤가? 물론 일부의 잘못된 촌지수수가 사회적인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