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윤수(전 부산교대 총장) 한국교총 회장 겸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이사장이 24일 오후 'AI와 메타버스 활용 교육혁신방안' 화상 세미나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첫째줄 왼쪽부터 김상철 NHN에듀 부대표, 이재곤 한국교총 정책추진국장, 임준호 블루가 대표, 박정현 한국교육정책연구소 부소장. 둘째줄 송민호 (주)엄마수첩 대표, 한선관 경인교대 교수, 하윤수 한국교총 회장 겸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이사장, 김봉제서울교대 교수, 셋째줄 김상태 서울 과학고 교사, 심재경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이사, 류세기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소장. (그 외) 류미영 인천 송명초 교사
2022학년도 수능 원서 접수가 19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성동광진교육지원청에서 수험생들이 서류를 접수하고 있다.
하윤수(전 부산교대 총장)한국교총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교총 2층 단재홀에서 제113회 임시대의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하윤수(왼쪽 네번째)한국교총 회장을 비롯한 주요내빈들이 '한국교총 제113회 임시대의원회'에서 기초학력보장법 조속히 제정 할 것 등을 결의 하고 있다.
김상곤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병우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영호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태봉로 한국교총회관에서 열린'2019 전국교육대표자 워크숍 및 제37대 한국교총 회장선거 후보자 합동 연설회'에서 회장 후보자들이 공명선거를 다짐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좌로부터 허광양선거분과위원장, 기호 1번 이상덕 전북 전주금평초 교장, 기호 2번 정성국 부산 해강초 교사, 기호 3번 하윤수 부산교대 교수.
범시민사회단체연합(이갑산 상임대표)은 18일 오후 서울 그랜드컨벤션센터 2층 토파즈홀에서 '2018 송년·후원의 밤'을 개최했다. 하윤수 교총회장(오른쪽)은 올해의 시민단체대상을 수상하고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과 기념촬영을 했다.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이 '2018 송년·후원의 밤' 올해의 인물 시상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동주 기자 '2018 송년·후원의 밤' 올해의 인물 시상식에서 주요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동주 기자
10일 경기교총(회장 장병문) 주최로 열린 ‘제66회 경기도 교육공로자 표창식’에 참석한 교원들이 축하 꽃다발을 받고 환하게 웃고 있다.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시 주민투표가 24일 실시되는 가운데 18일 서울성모병원사거리에 설치된 현수막 아래를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사거리에 설치된 무상급식 관련 광고탑.
16일부터 이틀간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에서 '201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하계연수 및 워크숍'이 열렸다. 내년도 주5일제 수업을 앞두고 각 학교에 스포츠강사가 확대 배치될 계획이다.
18일 출범한초등교육발전대표자연대는 교총회관에서 첫 회의에서 교대 구조조정 대응이라는 수세적 관점보다는 국가 경쟁력을 견인할 초등교육의 발전비전을 마련했다.
서울시 무상급식 범위에 대한 부재자 투표가 실시된 18일 서초구청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전국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연합회는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캠프스에서 16, 17일'2011 전국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하계연수 및 워크숍'을 개최했다. 16일 안양옥 교총회장이 '진정한 창의·인성 교육 구현에 대한 단상'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태국 교육부 대표단 35명은 5일 교총을 방문해 양국 교육, 교원 제도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태국 대표단은 한국의 교육 제도 개요와 교총의 역할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양국 간 발전적인 교육 교류 방안에 대해 논의 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교총이 주관하는 2011학년도 현장교육연구실무과정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이 4일 김정환 한국교원대 교수의 '현장교육연구의 계획과 추진' 강의를 듣고 있다. 지난달 25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이번 연수는 일선 교사의 현장연구 추진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개인지도를 병행해 실시됐다.
서울초등다문화교육연구회는 서울시내 초,중 재학다문화가정 학생 143명, 멘토 자원봉사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대성리교육원에서 '2011 해피드림캠프-다문화멘토'를 개최했다. 4일 경기여고 학생들이 주축이 된 멘토들이 학습지도를 하고 있다. 멘티와 멘토들이 조별로 모여 모형을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