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심사평> 경험 녹인 편지투 활용, 표현 효과 높여
한국 근대 수필은 너무 경수필 위주로 발달해온 면이 있다. 글에 대한 편협한 관념 때문에, 그마저도 흔히 ‘문학적’이라 여겨온 몇 가지 형태로 굳어졌다. 응모작들을 보면서 글쓰기의 재미와 보람에 맛들인 이가 참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전통적 범주에 갇힌 ‘교과서적’ 수필이 많아서 다소 답답하였다. 사적인 체험을 어떻게든 일반적 진실과 연결시키려는 내용도 많았는데, 필자의 진솔한 태도는 느껴져도 글로서의 참신함은 아쉬웠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5편이다. 앞의 셋은 자료를 모으고 논리를 밀고나가 애초의 착상을 발전시키려 노력한 작품들이다. 그 결과 앞의 문제점들에서 다소 벗어났지만 일반적인 내용을 반복하는 데 머문 경향이 있다. 뒤의 둘은 새로운 글감을 포착하는 섬세함과 상식에 매이지 않고 사색을 전개하는 날카로움이 돋보인다. 그러나 그 중 이 경험을 겹치고 편지투를 활용하여 표현 효과를 높인 반면 은 구성이 평면적이다. 논의 끝에 앞의 계열에서 을 가작으로, 뒤의 계열에서 을 당선작으로 뽑는다. 글쓰기는 이른바 심신수양에 도움이 되지만 심신수양을 위한 방편이 아니다. 규범을 넘어섬으로써 보다 개성적이고 자유로운 세계와 만나는 데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 최시한 숙명여대 교수․배봉기 광주대 교수
- 2009-12-24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