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개발원(원장 배규한)은 22일 교총회관에서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가치관과 행동양식’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교사상’ 주제발표를 맡은 유성경 이화여대 교수는 “1990년대 이후 한국청소년상은 급격하게 변화했다”면서 “어른에 대한, 특히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크게 떨어졌고 학교가 지닌 힘이 많이 감소한 것도 특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교사들의 권위가 크게 약해진 것에 대해 유 교수는 ‘청소년들은 인터넷이나 각종 매체를 통해 여러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과거에는 교사들이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 자체만으로도 학생들에게 권위가 있었지만 최근의 디지털 시대에는 지식이 보편화되면서 그러한 권위가 크게 약해졌다는 것이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지식 전수자’로서의 역할보다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역할이 더욱 중요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 중심적인 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유 교수는 “이는 최근에 학교 현장에서 상담 요구가 급증하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유 교수는 “인간적인 것을 통하지 않고는 지식만을 내세워서는 가르치기 힘든 시대”라면서 “이 시대는 교사에게 변혁적 리더십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란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도전적 공동 목표를 세워야 하며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돕고 ▲학생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신뢰감,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토론자로 나선 윤철경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위원은 “유 교수가 지적한 변혁적 리더십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 “이제는 학생과의 교감을 중시하는 교사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위원은 “넷세대는 디지털사회의 탈권위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이 늘 어른들의 세계와 부딪친다”면서 ‘영상을 선호하고 튀지 않으면 불안해한다, 마치 컴퓨터에 접속하고 끊는 것처럼 인간관계를 맺는다, 성적 이데올로기가 통하지 않는다, 신조어 등을 만들며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한다’는 점을 넷세대의 특징으로 꼽았다.
“학교는 이러한 기성세대 교사와 넷세대 청소년이 부딪치며 갈등하는 공간”이라고 지적한 윤 위원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문명 격차’ 때문에 의사소통할 수 있는 훈련이 없으면 교육이 효과를 보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윤 위원은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관계의 필요성은 오히려 증가한다”면서 “인성교육은 온라인에서 할 수 없는 오프라인 교육의 장점이므로 학교는 인성교육 기능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