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이 주최하는 2007~2008년 현장교육연구대회의 주제는 ‘기초·기본 교육 강화를 통한 교육력 제고’로 결정됐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초교육 혹은 기본교육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어떻게 창안해 낼 것인가, 그리고 그 방법이 효과적임을 어떻게 입증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야한다. 박부권 동국대 교수의 현장교육연구대회 ‘대 주제 해설’을 통해 2007~2008년 대회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를 알아본다.
현장연구의 의미=현장 연구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관계를 밝히는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도 아니고, 엄격한 통제가 요구되는 실험연구도 아니다. 또한 그것은 과학적 진보를 담보하는 사실, 법칙, 원리의 발견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연구도 기초연구결과의 실용을 목적으로 하는 응용연구도 아니다. 기초·기본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가 현장연구다.
기초교육과 기본교육=‘기초교육’은 원리, 관계적인 것으로 각 교과의 구조 속에서 보다 분명한 의미를 갖는다면, ‘기본교육’은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것으로 특정 공동체라는 구체적 맥락 속에 그 의미가 보다 분명해지는 것으로 양자는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학과 물리학은 기본교육보다 기초교육이 자연스럽고, 도덕은 기초보다는 기본이 더 자연스러우며 국민 기초교육보다는 국민 기본교육이 자연스럽게 들리는 것이 그 예다.
기초교육과 기본교육의 이런 차이가 있지만, 연구대회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은 차이에 개의할 필요 없이 양자를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은 교육의 내용과 범위가 국가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다. 그 내용과 범위는 학문원리에서 보면 각 교과의 기초개념, 원리, 법칙이 되지만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국민이 예외 없이 배워야 할 공통필수로, 국민 기본 교육의 내용과 범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교육과 기본교육은 구분이 어려울 뿐 아니라 그 구분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기초·기본 교육의 현장연구 예=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공교육의 강제성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은 무엇인가, 내재적 학습동기를 기초로 하는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구체적 교육프로그램들은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 명실상부한 기초·기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학교의 평가체제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 가 등이다. 개선책 탐구 이전 단계로서 현 교육제도와 관행 중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어떤 방식으로 기초·기본 교육에 장애가 되고 있는 지, 장애원인을 현장경험 분석을 통해 입증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사로서 나는 왜 기초·기본 교육을 할 수 없었는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분석은 그 원인 규명만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 국가적 차원에서 초·중등교육에서 어떤 교과를 기초·기본교과로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도 의미 있는 주제다. 영국은 이미 모국어인 영어와 함께 수학과 과학을 핵심 국가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이 교과의 확대심화를 국가 교육과정의 기본 축으로 하고 있다.
좀 더 미시적인 접근으로 연구자가 맡은 교과에서 기초·기본 혹은 구조는 무엇인가를 규정하고 그 규정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것도 하나의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신이 규정한 기초·기본 원리와 법칙의 교육 방법과 과정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교과전체가 분석의 단위가 될 수도 있고, 한 단원 혹은 한 차시의 수업이 분석의 단위가 될 수도 있다.
연구자들의 연구는 현장연구인 만큼 이론적인 궁구보다는 자신의 현장체험과 경험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현장’ 없는 현장연구는 학문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기초·기본 교육을 위한 현장 개선에도 의미 있는 시사를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박부권 동국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