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부는 종이 교과서 대신 디지털 교과서를 2013년부터 상용화한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그 전초전일까요. 요즘 서점가에서는 사전을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서울의 대형서점조차 신학기임에도 불구하고 하루 10권도 채 팔리지 않을 정도라고 하니까요. 영영・영한사전이 이런 형편이니 국어, 한자, 제2국어사전이야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종이사전이 급격히 쇠락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몇 년 사이 국내 종이사전 시장의 전체 매출이 3분의1이상 떨어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1인 1컴퓨터 시대에 4~5년 전부터 전자사전 열풍이 불어온 탓이라고 합니다. 사전시장의 주 고객이던 중·고생들이 유행처럼 전자사전을 구입하면서 매출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는 것이지요.
손바닥만한 크기지만 4~5인치 액정과 20권 안팎의 영어, 국어, 한자, 제2외국어 사전들을 망라하고 있는 전자사전. 한 번 전자사전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무겁고 두꺼운 종이사전이 거추장스러운 것은 당연한 얘기이겠지요. 하긴 요즘은 백과사전조차 펼칠 일이 없기는 합니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지식인에 물어봐.”라고 누구나 말하는 세상이니 말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종이사전에서 전자사전, CD롬, 온라인 사전 등으로 대체되는 유행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데는 동의하면서도, 사전 자체를 안보는 풍조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영어교육 방식이 문법·독해위주에서 모르는 단어에 연연하지 않고 전체 그림을 이해하는 ‘내추럴 어프로치'로 옮겨오면서 사전을 덜 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르는 단어를 쉬운 단어로 풀어 설명하는 ’패러프레이즌‘ 실력이나 영어의 정확성을 기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사전을 봐야 한다는 것이 영어교육 전문가들이 지적입니다. 국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사전을 멀리하다보니 어휘력의 빈곤을 낳고 있다는 것이지요.
최근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종이사전을 이용한 ‘사전활용교육(Dictionary In Education)'이 등장, 관심을 끌고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런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인 것 같습니다.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전자교과서와 종이교과서. 사전의 예를 거울삼아 보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