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3℃
  • 맑음강릉 11.6℃
  • 흐림서울 8.5℃
  • 흐림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조금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2.2℃
  • 흐림고창 9.7℃
  • 흐림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2) 사진으로 본 한국교총 60년 변천사

궁핍했던 시대 ‘희망’ 준 교련, 역사의 물줄기 바꿀 ‘힘’ 있는 교총


사진 왼쪽부터
서울 삼청동 산2번지로 이전한 대한교원연합회 회관.(49.2.7)
피난시 부산시청 후원에 자리 잡은 판자 회관.(1951)
전시에도 국제교류 전국학생 작품 전람회(1951.12)와 전국 중학생 학술경시 중앙결선대회 시상식(1952.10)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한국교육신문’의 전신인 ‘새한신문’ 창간호 발행.(1961.5)
제15차 WCOTP(세계교원단체) 서울총회 개회식.(1966.8.2)
교총의 공개토론을 거쳐 실시된 중학교무시험추첨입학.(1969)
새 교사상 정립을 위해 교총이 기획・제작한 MBC TV 단막극 ‘돌연변이’의 한 장면.(1972.1.11)
교육주간 행사의 일환인 ‘1일 교사’ 초빙수업.(1977.5.2)




사진 왼쪽부터
스승의날 기념식 및 제33회 교육공로자 수상자 청와대 방문.(1985.5.15)
광화문에서 현 우면동으로 회관을 이전, 대한교육연합회에서 명칭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로 변경했다. (1989.5)
정부의 정년단축 조치에 항의하는 3만 교원이 여의도에 운집, 대규모 전국 교육자대회가 열렸다.(1998.11)
최대 교원단체로서의 위상. 김영삼, 김대중 등 대통령이 교육자대회에 참석, 교원들을 격려했다.(1995.5, 1999.11)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부의 교육정책에 항의하는 거리집회의 횟수는 더욱 늘어났다. (2001.11)
교육대통령을 뽑고자하는 교원들의 의지를 전달하고자 대선후보들을 초청, 교육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2002.10)
북한 조선교육문화직업동맹중앙위원회와 공동주최로 2004년 7월 18일부터 3일간 북한에서 열린 ‘남북교육자통일대회’. 분단 이후 처음 남북 교육자 750여 명이 만나 59년간 가로막혔던 빗장이 풀렸다.



47
11월23일 조선교육연합회 발족
1947년 11월23일 조선교육연합회가 정식으로 발족했다. 해방과 더불어 어용단체였던 조선교육회가 자취를 감춘 지 2년만이었다. 당시 지방에는 이미 교직단체들이 대부분 조직되어 있었지만 이들의 연합체로 중앙에 교직단체가 발족하기까지에는 해방 이후 복잡한 상황에 의해 출범이 늦어졌다. 민주적 독립국가 재건을 염원한 교육자 대표 100여명은 연합단체 창립총회를 서울 덕수초등학교 강당에서 조촐하게 열고, 조선교육연합회의 깃발을 올렸다. 이때의 교련은 교직단체라기보다는 교육단체라는 인상이 강했다. 제일 시급한 일이 민주교육 보급과 5만 교사의 화합이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초등 일본인 교사의 비중은 45%, 중등은 70%가 넘어 전문학교나 대학졸업자면 교사로 임용 그들의 빈자리를 채웠으므로 소양 함양이 절실했다. 이에 1948년 교육전문지 ‘새교육’을, 1949년 초등 수업연구지 ‘새교실’을 창간했고 52년에는 전국교육연구대회(지금의 현장교육연구대회)를 창시했다.

57
교육으로 도의사회 건설 노력
50년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교총은 부산시청으로 피난, 겹방살이를 했지만 가교사와 천막교실에서 수업을 하며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특히 53년부터 해마다 교육계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교육문제를 주제로 설정, 행사의 중심을 삼고 주제에 의한 광범위한 연구와 통의로 행사를 주관했다. 그 주제를 보면 당시 교육주간 행사의 방향은 물론 정치・사회적 배경도 짐작할 수 있다. 1957년 제5회 교육주간 주제는 ‘교육으로 도의사회를 건설하자’였다. 전쟁으로 땅에 떨어진 도의를 바로잡기 위해 설정된 주제로 당시 교육부 장학방침이 ‘도의 교육 강화’였고 교총역시 창립 10주년을 맞아 기념행사의 근본정신을 주제와 같이 잡아 도의교육의 필요성을 강조, 혼란한 사회를 정화하고 개혁, 사회 건설에 앞장섰다. 그 밖에 50년대 주제들을 살펴보면 제1~3회 ‘어떻게 하면 더 좋은 학교로 만들 수 있을까’ 6회 ‘교육으로 자립경제를 이룩하자’ 제7회 ‘지역사회 학교를 건설하자’ 등 전쟁의 상처를 씻기 위해 폐허화된 교육시설 복구와 어지러운 사회질서를 회복에의 의지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67
전국교육연구대회 활성화
60년 4·19혁명, 61년 5·16 군사쿠데타의 격랑 속에 교육계도 크게 요동쳤다. 그로인해 교원단체 본연의 사업인 교육연구대회를 개최할 수 없어진 교총은 종합교육연구운동을 전개, 62년 초부터 교육자들이 광범하게 교육연구에 동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 결과 ‘더 나은 우리 교육을 탐구하자’는 대전제와 ‘교육의 민주화・교육의 과학화・교육의 생활화’라는 각 분과 공동 주제로 62년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에서 제6회 전국교육연구대회가 개최됐다. 12개 분과 230여 명의 교육자 연구보고와 1000여 명의 전국 교육연구 교사가 참가한 우리나라 교육계 초유의 대규모 연구집회였다. 이후 교총은 꾸준한 개선 노력을 통해 대회진행방식 정립, 심사기준 채택, 표창제도 확대, 지방에서도 대회를 개최 하는 등의 대회 기본방식을 확립했다. 특히 67년 제 11회 대회부터는 시청각교육분과를 더해 15개 분과로 확대 되는 등 연구 범위도 확장됐다.

77
조직개편 단행, 회세 확장
초등・중등・대학 3원제 조직으로 인한 운영상의 난맥, 학교 급별 조직의 분열과 집중력의 분산에 연유되는 정책수행상의 취약성, 종합교육센터 건립의 중단, 회비 납입 지연 등으로 인한 재정상의 부실요인 누적 등으로 혼미를 거듭하던 교총은 72년 7월1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조직개편은 회세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다. 72년 1월 12만7690명이었던 회원 수는 개편이 완료된 7월 13만9141명으로 1만1451명이 증가했다. 73년 교총은 회세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해 ‘회세 확장의 달’을 설정,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73년 8월 회원 수는 16만248명으로 가입률 87.5%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75년 7월에는 정관을 개정했다. 회장 임기를 3년으로 연장하는 한편 1차 중임 조문을 삭제하고 회계연도를 학년도 회계연도에서 정부 회계연도에 맞춰 변경했다. 또 76년 6월~9월 대의원 수 증원, 대의원 의안 제출 정족수 조정, 이사회 구성에서 사무총장을 당연직 이사에서 제외하는 등의 정관개정안을 성안하고 77년 2월 27일 주무관청의 승인을 받아 정관개정을 확정했다.

87
회원 뜻 모아 우면동 시대 개막
47년 11월 23일 창립직후 교육부 사범교육과 안에 사무국을 설치 운영해오다가 48년 12월 29일 중앙청 제3별관 112호로 이전했고 최초의 회관은 교육부로부터 양여 받은 삼청동 산 2번지 소재 교육부 소관의 교원연구소였다. 그 후 55년 10월19일 신문로 영안빌딩을 매수했으나 사업규모 확장과 국제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현대식 회관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이에 종로구 신문로 1가 25번지에 총 건평 1660평으로 지하 1층, 지상 9층의 건물을 짓기로 결정하고 65년 5월25일 신축 기공식을 가졌다. 우면동 교원복지회관은 83년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지원을 받았으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공사가 지연되다 87년 9월 당초계획대로 6486평에 총 공사비 105억8974만여 원으로 재결의・확정됐다. 회관건립에는 전 회원이 벽돌 한 장씩이라도 참여한다는 뜻에서 1인당 특별회비 5000원을 납부하는 등의 노력으로 23개월의 공사 끝에 89년 5월20일 4000여 임원, 대의원, 전국 시군교련 회장 등이 한 자리에 모여 준공식을 갖고 우면동 시대의 새 장을 열었다.

97
대선후보 토론회 등 정책압력 가시화
90년대 교총의 가장 뚜렷한 성과는 교육재정 GNP 5% 확보 실현이다. 92년 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전국교육자대회를 열어 3당 대통령 후보자를 초청, 교육재정 GNP 5% 확보를 모두 공약하게 하고, 특히 95년 개최한 전국교육자대회에는 김영삼 대통령을 초청해 GNP 5% 실현의지를 표명하도록 했다. 결국 교육개혁위원회와 정부부처는 숙의 끝에 GNP 5% 확보방안을 확정해 추진했고 4.6%까지 달성한 바 있다. 97년 5월28일 각 정당에 대해 12월 제 15대 대통령 선거의 교육부문 공약으로 교육자치제 개선, 교육행정의 전문성 신장 교육재정 확충 및 운영의 효율화 등을 건의하고 우수교원확보법의 조속한 제정을 통해 우수교원의 유치와 전문성 신장활동을 촉진하도록 요구했다. 교총은 이들 정책과제의 실현을 위해 대선후보자 초청토론회(자유민주연합 김종필 총재 97.8.20,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97.9.10, 신한국당 이회창 총재 97.10.9, 민주당 조순 총재 97.10.22)와 전국교육자대회(97.10.24)를 개최하는 등 조직적인 압력활동을 가시화했다.

07
보수 이미지 씻고 사회적 책무성 강화
99년 전교조 합법화로 교총의 영향력이 축소됐다. 99년 교원정년 62세 단축이 그 대표적 예로, 정년단축은 교원을 ‘개혁대상’으로 보는 경시풍조를 탄생시켰다. 이후 2006년 정부는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교육자치의 정치적 중립 정신을 말살시키고, 무자격 교장공모제를 올 하반기 시범 실시키로 하는 등 교육의 전문성, 자주성을 훼손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한계와 교육적 요구는 오히려 교총의 체질을 개선시키고 활로를 개척토록 했다. 2004년 유아교육법 제정을 주도해 만5세 단계적 무상교육 실현, 20년간 제정을 추진해 온 학교안전사고보상법 2006년 통과, 올 하반기 숙원사업인 수석교사제 시범 도입 성과 등이 이런 노력의 결실이다. 또 2002년의 대선후보 정책토론회에 이어 올해도 ‘교육대통령 만들기’를 선언, 교심에 맞는 대통령을 적극 지지할 방침으로 박근혜, 이명박, 정동영 등 예비대선 후보들의 정책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밖에 평양 남북교육자통일대회 이후 남북 교원교류 활동과 북한 학교 지원 사업 전개(2004), 패스트푸드의 유해성을 알리는 건강캠페인, 위기청소년 복귀프로젝트인 1388교사지원단 사업(2006~2007) 등 이미지 제고 및 교직단체의 사회적 책무성 강화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