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돌림을 당해 목숨을 끊는 중학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학교에 많은 어른들이 있으면, 물론 개중에는 못마땅한 사람도 있겠지만, ‘아, 저 분이라면 이야기해 봐도 좋을 것 같은데……’라는 느낌을 주는 어른이 있을지 모릅니다. 그렇게 상담하고픈 상대가 발견되어 자살이라는 선택을 하지 않게 된다면 얼마나 다행이겠습니까?”(p189)
2003년 7월. 12살 소년이 유치원생을 살해한 사건에 충격을 받은 ‘오체 불만족’의 저자 오토다케 히로타다(乙武洋匡·사진)는 “교육을 소홀히 한 어른들에게도 책임은 있다”며 팔다리가 없는 몸이지만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것이라며, 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교사가 되고 싶은 그는 먼저 일본 신주쿠의 지도를 펼쳤다. 구립 초등학교가 30개, 중학교 11개에 양호학교가 하나. 모두 42개. 그는 이 학교들을 전부 방문했다. 수업은 물론 각 학교의 운동회만 쭉 돌아보는 '테마'관찰도 했다. 그렇게 시속 6㎞까지 나오는 ‘애마’ 휠체어를 타고 그는 교육 현장에 뛰어들었다. 먼저 2년간은 신주쿠에서 아이들의 ‘바른생활 파트너’로 일했다. 그리고 지난 4월. 일본 도쿄에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도덕과 특별활동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었다. 이 책은 이렇게 지난 2년 동안 그가 학생들의 파트너로서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한 르포다.
“나는 공립학교 근무를 희망했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나 못하는 아이나, 집이 잘사는 아이나 못사는 아이나, 그 모든 아이들이 자유로이 다닐 수 있는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부대끼며 서로 성장해나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금이라도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되찾고 격차를 메워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내게 그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것이다.”(p75~76)
학교에 간 히로타다는 자신이 어렸을 때 목에 걸고 다니던 ‘다마고치’(가상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전자게임) 대신 ‘호신용 호루라기’를 걸고 있는 아이들을 보고 놀랐다. 달리기의 등수를 매기지 않는 운동회를 보고서는 지나친 평등주의가 스며든 교육을 개탄했다.
“물론 교육받을 기회는 평등해야 옳다. 그러나 교육의 ‘결과’에까지 평등을 추구하는 것은 무리한 발상 아닐까? 아이들은 저마다 다른 존재이며, 그렇기 때문에 잘하는 분야도 제각기 다르게 마련이다.”(p50)
순위를 매기지 않고 달리기를 하는 것에 대해 그는 ‘이상한 평등주의’라고 꼬집는다. “바깥 세상은 엄연한 경쟁사회인데, 이런 경쟁을 전혀 경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것이다. 그는 “아이들이 자라면서 겪게 될 자연스런 상처의 기회까지 막아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다. 또 단순 암기식으로 ‘정보처리력’에만 집중하고, 정보를 창조적으로 이용하는 ‘정보편집력’에 소홀한 교육도 비판한다. “사회에는 정답이 없는 문제들이 많은데 현실의 교육은 단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데 머무르고 있다”면서 말이다.
“혼자서 욕실에 들어가지 못하고, 일을 보고 나서 스스로 엉덩이조차 닦지 못하는 내 몸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개성적이다’라고 잘라 말할 기분이 나는 들지 않는다. 그건 단순한 억지 주장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내게 장애는 특징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일본인’ ‘남성’ ‘안경을 낀 사람’ ‘자기주장이 강한 사람’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 등의 여러 요소에 ‘팔다리가 없는 사람’ ‘휠체어를 타는 사람’이 포함되는 것이다.”(p111)
불편한 몸이지만, 장애라는 덫에 걸리지 않고 삶을 풍요롭게 살아가는 오토다케 히로타다의 목소리는 우리에게 적잖은 울림을 준다. 그는 오늘도 “내가 몸이 불편해 할 수 없는 일도 많지만, 내가 아니면 할 수 없는 것도 많다”며 학교로 출근한다. 그에게 가르침을 준 많은 스승에게 늘 전하고픈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아 정말 행복했어”라는 말을 자신이 들을 수 있는 그 날까지, 팔꿈치 아래가 없는 그의 팔엔 하얀 분필이 끼워져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