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4 (목)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국제

학교여, 내일이 준비됐는가?

미래 교육에 물음 던진 '2020년, 그 이후' 보고서

급격한 환경 변화에 학교신축계획도 주춤
"스스로하는 학습법 가르치는게 주임무될 것
기술 불평등 심화…평생학습 대비책 세워야"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를 순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장치를 몸에 내장 또는 부착하고 있는 ‘사이보그’라면 학교의 교사는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할까? 더 나아가, 학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영국 교육부가 미래의 학교와 교육을 디자인하기 위해 브리스톨대학 미래연구소에 의뢰해 연구소가 2007년 작성한 ‘2020년 그리고 그 이후(2020 and beyond)’라는 보고서가 던진 질문이다.

2004년 당시 노동당 재경부 장관 고든 브라운(현재 수상)은 2020년까지 전국의 중등학교 3500개, 그리고 초등학교 2만 8000개 중 절반을 신축 또는 개축하기 위한 사업 ‘Building Schools for the Future'를 위해 약 90조원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래형 학교건물’의 신축 또는 개축이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 사업의 취지문은 “현재 영국의 학교들 중에 절반이상이 25년 전에 건축되었으며, 건물의 수명이 다가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사실 영국의 상당수 학교들은 ‘25년 된’ 건물이 아니라 ‘해리포터’라는 영화에서 보이는 수백 년 된 건물들도 있고, 백년을 넘긴 붉은 벽돌의 건물들도 허다하다.

100여 년 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은 당시의 사회가 학교에 요구했던 것을 반영하고 있기에 지금의 ‘소방안전법’에 맞지 않는 건물도 많고, 학교 교육과정을 소화하기에는 문제들이 많다. 그리고 ‘25년 전’이라고 하는 말은 대부분 ‘2차 대전 이후’를 말하는 것으로 학교 건물들이 전후 부흥기에 지어진 ‘급조’된 건물들이다. 물론 여기서 ‘급조’ 라는 표현은 필자의 기준에서 말하는 것이며, 한국의 대부분의 학교 건물들도 이 ‘급조한 건물’에 포함된다.

‘학교건물 신축사업’이 발표되고 나서, 건축디자이너들에 의한 새로운 학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 건물들은 종종 언론의 관심을 모으곤 했다. 새로운 건물들의 특징은 유리벽(유리 창문이 아님)을 많이 쓰고, 내부는 바둑판같은 교실의 배열이 아니라 백화점 테넌트(임대매장)처럼 나누어져 있고 ‘로비형’ 휴게 공간이 큼지막하게 실내 공간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 사업은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는데 이는 과연 10년이나 20년 뒤의 학교가 어떤 모습일까 하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연구가 건물 설계의 바탕에 깔려 있지 않았다는 점 때문이었다.

10년 전에는 컴퓨터가 CRT 모니터와 함께 부피가 크기에 교실에 넣지를 못하고 ‘컴퓨터 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었다. 그리고 약 5년 전부터는 인터넷이 깔리고 LCD 모니터로 바뀌면서 각 교실의 책상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무선 랜으로 학교를 덮어버리고 노트북을 들고 다닌다. 불과 지난 10년 사이에 이렇게 변해 왔는데, 앞으로 10년이나 20년 뒤에는 어떻게 변할지 학교 건물 디자이너들은 예측하지 못하는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 속도가 현재처럼 가속화된다면, 10년 이내에 두루마리 형태의 종이 같은 모니터가 상용화되어 책은 없어지며, 여기에 달린 칩은 무선망을 통해 현재의 컴퓨터 보다 수백 배 빠른 속도로 정보 입수가 가능해진다. 컴퓨터를 위한 학교의 공간은 더 이상 필요 없어진다.

그리고 현재와 같이 발달이 가속화된다면, 고막이 없는 청각 장애인이 들을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 이미 시술이 되고 있는 것처럼 신경세포와 컴퓨터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근육을 키우는 근육강화제도 시판되고 있고, 기억을 강화하는 ‘브레인 보톡스(Brain botox)'와 같은 각성제류의 의약품도 이미 40여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리탈린(Ritalin)이나 모다피닐(Modafinil)과 같은 의약품이 환자 치료용으로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은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사이보그의 탄생이 바로 코앞에 다가와 있다고 이 보고서는 말한다.

의료과학협의회 의장인 가브리엘 혼(Gabriel Horn)씨는 “머지않은 미래에 지금 근육강화제가 스포츠 영역에서 낳는 문제와 같은 사회문제를 낳게 될 것이다”라고 예고하며 정부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지금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인 거부감은, 자녀들의 학업의 성패문제가 걸리면 얼마든지 상실될 수 있으며, 부자는 이런 약을 사 먹을 수 있고 가난한 사람은 사 먹을 수 없다면 약의 규제와 관련된 법률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의 평등성’ 문제에서 심각하게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현재 교육부가 강조하고 있는 ‘개인별 맞춤교육’은 점점 더 강화되어 DNA, 학교 공부내용, 평가결과, 생활 패턴, 쇼핑 성향 등과 같은 학생 개인별 기록이 모두 디지털화되어 보관되게 될 것이며, 또한 아이들의 두뇌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스캐닝도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테크놀로지가 이렇게 변화하면, 현재 학교에서 과목별 지식을 전수하는 교사는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며, 교실에는 교수법을 알고 있는 교사와 어떤 지식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현장 기술자가 들어오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구소의 댄 사치(Dan Sutch)씨는 “학교에 남는 역할(새롭게 강조되는 역할)은 인공지능을 갖춘 도구들과 사람, 그리고 이러한 도구를 매개로 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그리고 어떻게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터득하는지를 학교가 가르쳐야할 핵심 내용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인간 수명의 비약적인 연장으로 인해 테크놀로지의 발달을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문화 장애 현상’은 가진 사람과 못 가진 사람 사이 뿐 만 아니라, 세대 간에 따라 점점 더 심화될 것이며 평생학습의 필요성은 더욱 더 절실하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