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KICE)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 문제와 미래 전망‘포럼에서 이종승 충남대 교수(전 KICE 원장)는 기조 발제를 통해 “입학전형자료로서 수능의 가치는 유지돼야 하지만 고비용, 비효율 감금 출제 등의 체제는 변화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수능유형을 언어․수리 위주의 ‘학업성취도 검사'와 ’교과목별 학업성취도검사'로 이원화해야 한다”며 “수능Ⅱ(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면 시험의 질적 수준은 물론 예언타당도와 변별력이 높아질 것이고, 수능Ⅰ(기초수학능력 검사)은 전국단위 공통적 학력기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응시자격은 고2부터, 연2회 실시해 다수의 시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감금 합숙 출제에서 벗어나 문제은행식 출제를 도입하면 문항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다 시험으로 인한 비용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훈 동국대 교수(한국교육평가학회장) 역시 ‘수능체제의 타당성 진단’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이 교수 의견에 동의했다. 김 교수는 “수능은 ‘대학수학능력’이 아닌 ‘고교 학업성취도’ 측정시험으로 변질됐다”라며 “문제은행 구축과 2회 이상의 검사 시행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숙 경인교대 교수(한국교육과정학회장)는 수능의 ‘고교 졸업학력 인정고사’ 전환을 제안했다. 그는 “고교 교육이 입시에 예속되지 않으려면 평가권은 고교가, 대학은 선발권을 갖도록 해야 한다”며 “수능을 교육과정과 연계된 ‘고교 졸업학력 인정고사’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종재 서울대 교수(전 한국교육개발원장)도 “수능의 목적은 변별보다 기준 달성에 있다”며 “수능을 이원화해야 한다”는 이종승 교수의 주장에 힘을 보탰다. 그는 “문제은행식 출제와 복수 활용 기회를 허용하는 고비용-고효율 체제로 가야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총은 “수능 이원화와 문제은행식 출제 방향에 공감한다”며 “수능이 대입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논평했다. 또 교총은 “연2회 수능 실시로 인한 학생부담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라며 이에 따른 후속조치 검토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