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부터 계속되는 사립학교 열풍으로 독일의 학교 지형이 바뀌고 있다. 1992년 이래 사립학교가 50% 증가했고,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07년~2008년엔 사립학교 수가 5000개로 증가했다. 이는 평균으로 따지면 매주 2, 3개의 사립학교가 신설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이러한 속도도 사립학교에 대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현재 독일엔 열 세 명 중 한 명이 사립학교에 다닌다.
함부르크 교육학과 페터 슈트룩 교수는 “공립학교 입학희망자 수는 줄어드는 반면 사립학교에 들어가려는 대기자 명단이 길다. 사립학교 입학희망자의 수는 정원의 5배나 된다”고 말했다.
사립학교를 설립하고 있는 주체들은 예전처럼 권위주의에 반대하며 거창한 대안교육을 꿈꾸는 교육철학자가 아니다. 이들은 그냥 대부분 평범한 학부형이다. 자녀 때문에 학교 설립에 팔을 걷어붙이는 것이다. 수많은 학부형들이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렸다. 실례로 2007년 독일의 중소도시 브레멘에서는 공식인가를 받지 않은 사립초등학교가 14년 동안 운영되었던 것이 밝혀져 독일사회에 충격을 안겨줬다. 공교육을 믿지 못해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비인가 학교였다. 이 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은 문서를 조작해서 상위학교에 진학했다. 이러한 예에서 미루어 보건대, 천편일률적으로 정해진 교과과정을 따르는 공립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과 창의력을 앗아간다고 생각하는 학부형이 늘고 있는 것이다.
독일에선 원칙적으로 누구나 사립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설립의 기준은 좀 더 까다로운 편이다. 독일 기본법 7조에 의하면 사립초등학교는 종교재단에 속하거나 특별한 교육 콘셉트를 갖춰야 한다. 또 각 사립학교는 각 주정부 교육부의 관할이다. 그냥 공립학교 교육보다 더 나은 교육을 시도해보겠다는 의지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교과과정과 교육목표는 각 주정부의 그것과 일치해야 한다.
사립학교도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사립학교가 정부로부터 지원받기까지는 설립 후 보통 3년 정도가 걸린다. 재정적 지원은 전체 비용 중 70%에서 많게는 90%까지 받을 수 있다. 그 나머지 비용은 등록금, 재단의 스폰서 등으로 충당한다.
그렇다면 사립학교 교육의 질이 월등히 나을까? 교육학자 군델 쉼머와 만프레드 바이스의 ‘교육경제와 학교 교육의 질’ 이라는 주제의 연구에 따르면 교육의 질이라는 측면에선 독일의 사립학교와 공립학교 사이에 차이는 거의 나지 않는다. 그 대신 연구결과는 사립학교 환경이 더 낫다고 보고한다. 특히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공립학교 재학 중인 학생들보다, 사립학교 학생들이 교사로부터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는다고 느낀다. 또 급식, 스포츠, 여가시간 프로그램이 공립학교보다 더 다양하고 좋다. 교사들도 더 교육 열기가 높고, 학급의 규모도 작다.
사립학교의 또 다른 장점은 학부형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립학교들은 영재 학교, 장애아동 교육 학교, 예체능에 중점을 둔 학교 등 공립학교에 비해 저마다 특색을 갖고 있다.
한편 부유층만 사립학교엔 다닐 수 있다는 생각은 편견이다. 사실 대부분 사립학교 학생들이 내는 수업료는 한 달에 80~100유로 정도다. 각자가 내는 사립학교 수업료는 학부형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다. 빈곤층 출신 학생들은 재단의 장학금을 받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저소득층에 교육 수준이 낮은 학부형들은 보통 자녀를 어떤 학교에 보낼지 고민하는 경우가 드물다.
독일의 사립학교는 대부분 개신교나 가톨릭 재단에 속하지만 발도르프학교, 몬테소리학교 등 대안학교도 많다. 또 최근에는 수익성을 목표로 한 상업성 사립학교도 성업 중이다. 2007년에 문을 연 포름(Phorm)학교는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료가 월등이 비싸다. 그런데도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내려는 학부모들이 줄을 섰다. 수업이 영어와 독일어 두 언어로 진행되고, 교사들 상당수가 영어권 국가 출신이다. 포름 학교는 10년 안에 독일에서 40개 학교를 개교하고, 교육명품브랜드로 자리 잡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사실상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는 학교 체계, 학생 유치 등 여러 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경쟁관계를 통해 공립학교가 오히려 긍정적 방향으로 발전 한다고 역설한다.
교육학자 페터 슈트룩은 “공립학교는 사립학교의 교육방식을 일부 받아들임으로써 점점 나아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한편 독일 사립학교 연합 의장 미하엘 뷔흘러는 “모든 학교는 각 학생의 개인적 성향과 재능을 발견해서 지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립학교를 선호하는 학부형이 늘어나고 있는 현재, 독일에는 사립학교 설립 붐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